직무 · 기아 / 마케팅

Q. 마케팅 직무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지거국 IT공학과

오픽 IM2 식스시그마GB 모스마스터 전기공사기사필합상태

학점 3.18(전문대 졸업후 편입)입니다

경력사항은 전기공사업체 1년3개월 근무(한회사)

방학중 쉬지않고 전기안전관리 보조업무를 했습니다

전기설비쪽 직무말고 마케팅으로 가려하는데요

마케팅부서에서는 어떤역량을 요구하는지, 공과대학생들도 많이 지원할수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3
채택
캐빈코치
코사장 ∙ 채택률 88%

안녕하세요 멘티님 반갑습니다.
제 생각은 그냥 일반적으로 공대생들이 지원하는 직무가 좋지 않은가 합니다.

첫째, 마케팅 직무는 공대생을 '거의' 안뽑습니다.
대부분 그 분야에 특화된 전공자들을 뽑는데, 공학은 마케팅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둘째, 마케팅 직무는 컷라인이 가장 높습니다.
스팩이나 학벌을 보면 가장 상향인 것이 마케팅입니다.
지방대를 잘 안뽑을 뿐 아니라 최상위 대학 지원자들이 많이 가는 곳입니다.
공학 전공자들 외에도 마케팅은 조금 상향지원이라고 생각하고 내곤합니다.


채택
야나두
코상무 ∙ 채택률 80%

안녕하세요, 멘티님! 직무 때문에 고민 많으시겠습니다. 마케팅 관련하여 간단하게 몇 자 피드백드려보고자 합니다. 우선 마케팅 직무는 보기와는 다르게 아주 데이터와 밀접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 및 분석력과 소비자 인사이트를 잘 짚어낼 수 있는 트렌디함이 중요합니다. 또한, 기획력이 중요합니다. 돈을 쓰는 부서기 때문에 어떻게 써야 잘 써서 효과를 최대로 볼 수 있는지 등 기획력이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또한, 브랜드와 대행사, 고객 간의 중개소 역할을 하기 때문에 좋은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필요한데요. 위기 대처 능력, 순발력, 그리고 협상력 등 다른 직무에게서도 필요한 대외적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중요합니다.

디지털 마케팅 분야의 경우, 수와 데이터 등이 아주 많이 활용되기 때문에 공대생 분들도 마케터를 꿈꾸시는 분들이 문과보다 보다 수월히 접근하는 경우가 요즘엔 있어보입니다. 관련하여 서칭해보시는 것도 권유드립니다.

좋은 결과 있길 바랍니다. 힘내세요!


채택
휴면계정

안녕하세요 멘티님.
제 주변에도 공과대학을 나와서 영업/마케팅으로 취업하는 사례를 적지않게 보았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특징이 있다면, 마케팅과 관련된 활동을 학창시절에 하였다던지, 외국어성적이 비교적 높다는 점들이 있었어요. 마케팅은 티오가 적은 분야입니다.
그런의미에서 타 문과생들과 대비했을때 전혀 뒤지지 않는 스펙과 본인만의 이공계적 강점을 녹이시면 그 누구보다 훌륭한 지원자가 될 것입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