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네트워크 회사 / SI, 개발

Q. 네트워크 SI 부서에서 일하시는분들 하는일을 여쭤보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네트워크 회사의 다니시는 분들중 직무가 SI 부분을 맡고 계신 분들이 하시는일을
좀 알고 싶어서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다른 SI일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것도 좋지만, 보통 네트워크 SI부서에 일하게 되면 어떤 툴을 사용하여 개발을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좀 자세하게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드릴것 같습니다.
제가 알아듣지 못하더라도 최대한 상세하게 깊숙하게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그리고 혹시 그런 네트워크회사의 인턴으로 일하게 된다면 어떤 일을 하게 되는지도 알고 계시다면 조금 상세하게 설명 한번 부탁드립니다 ㅠㅠ..

도와주세요 !!

답변 4
휴면계정

SI 회사는 기본 솔루션을 가지고
프로젝트에 투입되어 그 솔루션을 customization을 한다거나
새로운 솔루션을 개발하여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들을 합니다.
파견이 많고, 툴은 Java, C+, C 등을 이용하며
사내 교육으로 다양한 강좌를 개설해 부족한 교육을 지원하기도 합니다.
인턴으로 일하게 된다면, 개발보다는
전체적인 업무의 보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멘토를 잘 만날 경우에 개발에 약간 부분 참여도 가능할 거 같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멘토31436
코차장 ∙ 채택률 68%

네트워크회사의 SI라고 해서 딱히 정해진 툴이 있는것은 아닙니다.
쓰이는 언어에 따라 툴이 달라지구요..
같은 회사 내에서도 JAVA를 쓰거나 C++을 쓰거나 나뉠수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툴을 쓰는지는 직접 가서 보시면 되고,
툴은 사용법만 조금만 익히면 되니 크게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그리고 SI부서에서 인턴같은 경우는 개발업무에 직접 참여 할 수도 있지만
보통은 보조적인 문서업무 위주로 합니다.
그러다 사수 눈에 좋게 보이거나 실력이 있어 보이면 개발업무를 줄 수도 있지만
그건 직접 부딪쳐봐야 아는거구요..
일을 잘 못하거나 실수 하더라도 많이 해보는것이 좋습니다.
크게 중요한일을 시키진 않으니까 일을 시키면 실수하면 안된다는 겁부터 먹고 안한다 하는사람도 봤는데, 상관없으니 많은 일을 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멘토56433
코사원 ∙ 채택률 100%

파견업체에 따라 개발툴을 정해져있습니다. 대게 웹,앱 관련 업무가 많기에 java, Android, Swift, object-c 등이 필료하구요. 하지만 소규모 클라이언트 같은경우는 언어에 정해진 부분이 딱히 없습니다. Node.js 나 파이썬을 쓰기도 하구요.


컨설턴트 이선생
코전무 ∙ 채택률 80%

제 경우, 과거 회사가 SI였습니다.
네트워크 SI라 하면 일반적으로 신규 네트워크 구축 서비스를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네트워크라고 해도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보안, 네트워크, 서버 등등
인턴으로 일하게 된다면 큰 역할은 부여받지 못할 것이나 어떤 종류 중 하나로 involve되는지 미리 인지한 상태에서 접근하신다면 그 다음 Step을 위한 좋은 과정이 될 것입니다.
건승하세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