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CG녹십자 / 모든 직무

Q. 녹십자 GCCL bio analytical팀 직무

녹십자 bio analytical팀에 지원하려고 하는데
1. 생체 시료 분석법 개발 및 검체 분석
2. LC/ MS/ MS 분석기기 사용
가 주요업무로 나옵니다.
이 bio analytical팀의 업무들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알고 싶습니다.

회사 홈페이지의 설명으로는 "임상시험 단계의 PK/PD분석을 위해 최첨단 장비와 전문 인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석법 개발 및 검증과 바이오마커 분석 서비스를 제공" 한다고 하는데,
생체 시료와 검체는 혈장같은 생체물질을 말하는 것인가요?
생체 시료 분석법이라는 것이 단순히 LC MS같은 기기를 사용하여 생체시료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고 더 복잡한 분석과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개발이 필요한 것인가요?
검체 분석은 어떻게 이뤄지는 건가요?
바이오마커 분석은 약물 분석과 어떻게 다른건가요?
모르는 것 투성이라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3
채택
바이오파마
코과장 ∙ 채택률 85% ∙
학교
일치

생체 시료와 검체는 혈장같은 생체물질을 말하는 것인가요?
-네 맞습니다.

생체 시료 분석법이라는 것이 단순히 LC MS같은 기기를 사용하여 생체시료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고 더 복잡한 분석과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개발이 필요한 것인가요?
생체시료를 LC, MS 하는 것은 아직 못봤네요.
아마 별도의 업무 내용이 이화학구조 분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검체 분석은 어떻게 이뤄지는 건가요?
임상시험시료 (주로 혈액)은 보통 ELISA를 많이 합니다.

바이오마커 분석은 약물 분석과 어떻게 다른건가요?
모르는 것 투성이라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바이오마커는 잘 모르지만,
아마도 질병에 걸린 환자에게서 얻은 혈액에서 어떤 지표, 마커가 많은 지를 연구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약물 분석은 보통의 항체, 합성의약품 등을 분석하여 potency, impurity, protein structure 등을 연구하는 것을 말하죠.


채택
짜장곱
코주임 ∙ 채택률 72%

생체시료는 Plasma, Serum, Urine 등이 맞습니다.

내용을 보아하니 생체시료를 이용하여 단백질 분석이 아닌 이화학분석을 통한 업무가 주요가 될 것 같습니다.

단백질 분석은 ELISA 를 통해 분석을 많이하구요 ELISpot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항체를 분석하기도 합니다.
바이오마커 분석을 한다고 하면 ELISA 분석 및 PCR 등을 이용한 DNA, RNA 즉 분자생화학쪽 분석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약물 분석의 경우 생화학적 개념보다는 약학쪽에 가까울 것 같습니다.


채택
R
RA Master
코주임 ∙ 채택률 60%

임상시험 단계의 pk, pd 분석은 예상하신 대로 임상약 투여후 채취한 혈액 샘플을 의미합니다. 해당 샘플 결과값을 봐아하기 때문에 lab에서 관련 시험을 진행합니다. 분석법 개발은 현존하는 시험법 내 절차나 validation 문서를 작성하는 업무 및 신규 시험법 필요시 개발 등의 폭넓은 의미로 기재된 사항인 것 같습니다. 이미 존재하는 시험법이더라도 특정 lab (새로운 곳) 에서 진행하려면 다양한 절차 (시험법 세팅, 문서화, validation 등) 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개발이라고 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