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녹십자 GCCL bio analytical팀 직무
녹십자 bio analytical팀에 지원하려고 하는데
1. 생체 시료 분석법 개발 및 검체 분석
2. LC/ MS/ MS 분석기기 사용
가 주요업무로 나옵니다.
이 bio analytical팀의 업무들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알고 싶습니다.
회사 홈페이지의 설명으로는 "임상시험 단계의 PK/PD분석을 위해 최첨단 장비와 전문 인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석법 개발 및 검증과 바이오마커 분석 서비스를 제공" 한다고 하는데,
생체 시료와 검체는 혈장같은 생체물질을 말하는 것인가요?
생체 시료 분석법이라는 것이 단순히 LC MS같은 기기를 사용하여 생체시료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고 더 복잡한 분석과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개발이 필요한 것인가요?
검체 분석은 어떻게 이뤄지는 건가요?
바이오마커 분석은 약물 분석과 어떻게 다른건가요?
모르는 것 투성이라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네 맞습니다.
생체 시료 분석법이라는 것이 단순히 LC MS같은 기기를 사용하여 생체시료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고 더 복잡한 분석과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개발이 필요한 것인가요?
생체시료를 LC, MS 하는 것은 아직 못봤네요.
아마 별도의 업무 내용이 이화학구조 분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검체 분석은 어떻게 이뤄지는 건가요?
임상시험시료 (주로 혈액)은 보통 ELISA를 많이 합니다.
바이오마커 분석은 약물 분석과 어떻게 다른건가요?
모르는 것 투성이라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바이오마커는 잘 모르지만,
아마도 질병에 걸린 환자에게서 얻은 혈액에서 어떤 지표, 마커가 많은 지를 연구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약물 분석은 보통의 항체, 합성의약품 등을 분석하여 potency, impurity, protein structure 등을 연구하는 것을 말하죠.
20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