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산업 · 대학교 / 교직원

Q. 대학교 교직원 지원할 때 지원하는 대학의 네임밸류가 중요한가요 ?

질문과 같은 내용입니다.
대학교 교직원 지원할 때 지원할 대학의 네임밸류가 중요한가요 ?
저의 출신 대학이 아니라 일하게 될 대학의 네임밸류 말입니다.
서울 sky 대학이든 지잡대든 행정직원으로써 근무하는 것에는 대학의 이름이 별로 큰 의미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행정직원의 특성상 지잡대나 서울권 대학이나 대학에서 하게 될 행정업무는 비슷하겠지만
일하게 될 학교의 대내외적 인지도가 근무환경이나 업무강도 등 업무에 큰 영향력을 주는지가 궁금합니다.

답변 3
휴면계정

안녕하세요, 멘티님. 현 직장에 입사하기 전 대학교에서 잠시 일을 하면서 다른 학교에서 일하는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눠보니 네임벨류는 근무환경과 연관됩니다.

일반화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학교의 레벨이 높으면 학생과 직원의 수준도 높습니다. 예를들어, 학교 레벨이 높은 경우에는 학생들이 자신의 학점에 관심이 많아서 스스로 졸업을 챙깁니다. 반면 학교 레벨이 낮으면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관심이 없어서 졸업 안내를 수십번 해도 졸업할 때 쯤 찾아와서 졸업 요건을 묻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 사례는 단편적인 예시에 불과하나, 크게 봤을 때 사소한 것 하나하나가 영향을 미쳐서 업무 환경에서 큰 차이가 나게됩니다. 게다가 학교의 레벨이 높을 수록 같이 일하는 동료나 교수님들의 수준이 높을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여러 학교를 골라서 갈 수 있다면 레벨이 높은 학교를 가시길 추천드립니다.


1
1341241
코전무 ∙ 채택률 77%

1. 재단이 튼튼한 학교를 가세요. 재단이 무너져가는 대학에 가시면 향후 10~20년 후에는 어떻게 될지 모른다고 봅니다.
2. 네임벨류가 좋다고 직원 처우가 좋은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면, 연세대보다는 경기대 교직원이 연봉도 훨씬 많이 받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죠. 교직원도 대우가 각 학교별로 차이가 있으니 잘 알아보고 지원하세요.
멘티님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채택
C
Comento41
코상무 ∙ 채택률 78%

지금부터는 대학 네임밸류도 무시못하게 되죠.
현재 대학교 입학금이 순차적으로 폐지되고 있는 상황이고, 지방 모 대학의 경우에도 폐교 위기라는 등 대학교 신입생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들도 존재합니다. 추후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교 내부의 위기의식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멘티님께서 말씀하신 지잡대와 서울권 대학의 직원이라면 내부적인 분위기 자체가 다를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이 직접적으로 근무환경이나 업무강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입니다. 다만, 신입 지원자가 적은 대학일수록 국가 보조금 문제라던가, 학과 통폐합 등의 문제가 발생할텐데 그 경우라면 행정직이 해야할 일들이 많아지겠죠.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