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DOE 실험계획, Split, 변수설정
안녕하세요. 실험계획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보통 현업에서 실험계획을 세울 때, 몇 가지 수준을 고려하나요?
변수 A, B, C가 있다고 가정하면 A (100, 1000), B (100, 1000), C (100, 1000) 이런 식으로 각각 2가지 수준으로 설정해서 총 8가지 정도를 고려하나요?
2) 저는 캡스톤 디자인할 때, 3변수 3수준으로 27가지 경우의 수를 고려했고, 경우마다 output을 30회 얻어내고 평균을 계산했습니다. 그다음 변수랑 output이랑 매칭시켜서 원인 인자를 도출해 봤습니다.
인식률 개념이라 인식만 시키면 1초마다 output이 나와서 한 가지 경우에서 30회 측정할 때 1분도 안 걸리긴 했습니다.
이러한 방식도 하나의 방법론으로 존재하나요? 현업 입장에서 이렇게 진행했다는 게 이해가 갈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2) 제시한 방법론은 실험계획의 일환으로 유효할 수 있습니다. 3변수 3수준의 경우를 고려하고, 각 경우에 대해 여러 번의 출력을 측정하여 평균을 계산하는 방식은 통계적 분석에 적합합니다. 이러한 접근은 변수와 결과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며, 현업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실험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202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