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취업을 고민하는 공대생입니다. 인턴이나 서포터즈 활동 경험이 없는데 은행권 준비할 때 중요한 스펙인지 궁금합니다. 대외활동이 없다면 자격증 준비로 커버가 가능한지도 궁금합니다.
답변
6
코멘토 AI봇
코멘토
powered by OpenAI
은행권 취업에 있어 대외활동 경험은 중요하게 평가될 수 있습니다. 특히, 인턴십이나 서포터즈 활동은 실무 경험을 쌓고, 팀워크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대외활동이 없더라도 자격증을 통해 전문성을 강화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며, 특히 금융 관련 자격증(예: CFA, AFPK 등)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외활동이 필수는 아니지만,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역량을 증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니
니꿈은뭐니
삼성전기
코사장
∙ 채택률 86%
은행같은 금융권은 대외활동보다는 자격증이 훨씬 주효한 스펙이라 효용성이 높습니다. 우선은 입사를 위해서는 못해도 2개 이상 취득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난이도가 그리 높지않은 금융권 공통 우대 자격증으로는 국가공인자격인 CFP, AFPK, 자산관리사(은행FP) 등이 있습니다.
Top_Tier
HD현대건설기계
코사장
∙ 채택률 95%
네 그런 경험들은 필수라 할 수 있습니다. 학점만 좋고 대외활동이 없는 것 보다는 학점이 다소 떨어지더라도 인턴, 서포터즈 등과 같은 대외활동을 한 인재들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 자소서의 내용도 달라지기 때문에 돋보일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삼성전자
코이사
∙ 채택률 64%
은행권 취업시 가장 중요한 스펙은 대략적으로 학벌/학점/관련 전공입니다. 대외활동의 경우 고객 응대 및 업무를 위한 대인관계 역량 및 의사소통 역량을 보려는 목적이 큽니다. 대외활동이 전무하다면 이 부분에 대한 챌린지가 들어올 수 있으니 아르바이트나 다른 경험/경력 사항으로라도 준비를 하시는게 좋으며, 대외할동과 자격증인 결이 달라 자격증으로 해당 부분을 커버하는 건 맞지 않습니다.
부
부산금공
하나은행
코과장
∙ 채택률 99%
∙
직무
일치
인턴은 한 번 해보실 수 있으시면 해보는거 추천드립니다! 근데 시간 없으시가면 자격증이 우선이라고 생각하긴 해요
2024.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