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소서 · 모든 회사 / 생산기술

Q. 직무관련 경험이 없을땐 어떻게 해야하나요?

우선 저의 스펙은 4년제 기계과 3.88/4.5, 공조냉동기계기사, 일반기계기사, 위험물 산업기사 보유중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기계과 졸업 후 공백기가 2년있는 취준생입니다.
졸업하기까지 원하는 직무를 못찾고 고민하다 그냥 주변에서 괜찮다는 자격증을 따는데 시간을 보냈고 현재는 저에게 맞는지 모르겠지만 자격증에 맞춰 설비나 공무쪽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간 자격증 준비하느라 6개월 전부터 자소서쓰고 입사지원하고 있는데 서류에서 계속 떨어지네요....
학부시절 아르바이트 경험은 정말 많은데 이 외에 공모전이나 프로젝트 등 전공이나 직무에 관련된 다른 활동을 못해본게 아쉽네요...
특히나 3,4학년땐 비대면 수업로 실습을 해보지 못했어요,, 그래서 어필할 수 있는 거라곤 자격증과 아르바이트 경험 밖에 없는데 대부분의 항목을 아르바이트 했던것으로 적어도 괜찮을까요?? 아르바이트하며 배운점이나 낸 성과를 어떻게든 직무와 연관지어서 적는게 맞나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답변 9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먼저,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이지만 그 외에도 중요한 것이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까지 아르바이트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셨다는 점은 매우 긍정적인 것입니다. 아르바이트 경험을 통해 배운 점이나 낸 성과를 직무와 연관지어 적는 것은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고객과의 원활한 소통 능력을 향상시킨 점이나 문제 해결 능력을 발전시킨 점 등을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또한, 아르바이트 경험 외에도 졸업 프로젝트나 자발적으로 참여한 공모전 등도 적극적으로 어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전공 지식을 실제로 적용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춘 것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취업을 위해 필요한 기술을 스스로 학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인터넷을 통해 강의를 듣거나 스스로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는 등 자신이 원하는 분야의 기술을 습득하는 것은 매우 좋은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스스로 취업에 필요한 역량을 갖출 수 있으며, 이를 이력서나 자소서에 적극적으로 어필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취업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계속 취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 적극적으로 자기계발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취업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계속해서 지원하고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취업에 실패하는 것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일입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재도전하는 모습이 취업에 도움이 될 것이니 포기하지 마시고 계속해서 노력해보시기 바랍니다. 힘들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노력하시면 언젠가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화이팅!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아르바이트 경험도 사회생활 입니다. 공백기가 많으면 좋지는 않아서 중견기업 정도나 계약직 같은걸 해서 공백기 줄이고 이직하는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제가 실제 그렇게 했고 32에 자리잡고 일하고 있습니다.



댓글 0
직장상사
2024.03.22
답변 감사합니다. 지금 중견기업 위주로 서류를 넣고 있는데 죄다 떨어지네요. 말씀하신것처럼 계약직이나 인턴도 해보고싶은데 이마저도 떨어지니 속상합니다. 혹시 지금 스펙에서 영어나 컴퓨터 관련 자격증이 있으면 조금 더 경쟁력이 있을까요? 취준 기간만 길어질까 두렵네요ㅠ
직장상사
2024.03.23
plc관련 교육 한 번 찾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채택
니꿈은뭐니
코사장 ∙ 채택률 86%

알바도 훌륭한 대외활동경험입니다. 그 경험속에서 멘티님의 책임감, 문제해결능력, 소통능력등을 어필하실 수 있는 내용이 있다면 충분히 경쟁력을 가지실수 있으니 무조건 언급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0
직장상사
2024.03.23
감사합니다. 알바라도한게 다행인것같네요!
채택
다시 돌아온 상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멘티님
해당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직무관련 경험이 없다면 실습, 교육을 통해서 최대한 채워주셔야 합니다.

만약 불가하다면 직무에 필요한 역량과 아르바이트를 연결해도 괜찮습니다.


도움이 된 답변이라면 채택 부탁드려요!


취업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댓글 0
직장상사
2024.03.23
사실 실습과목은 좀 들었지만 코로나때문에 대부분 이론 부분만 다루고 끝나서 뭐라 적을게 없네요..
채택
남양연구소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경험이 없다면, 아르바이트 등에서 배운점/팀워크/협업으로 어필할 수 있습니다.
설비나 공정쪽으로 지원하시면 경쟁력이 있어 보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댓글 0
직장상사
2024.03.23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취준이 길어지더라도 영어나 컴퓨터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는것이 더
도움이 될까요?
채택
조급해하지마
코과장 ∙ 채택률 89%

우선 자격증, 학점으로 보아 학교 생활 정말 성실히 하신거 같습니다.
직무 관련 경험이 없다면 아르바이트 경험을 활용해서 직무와 연관을 짓는것도 괜찮습니다.

직무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어도 아르바이트 경험에서 어떤 과정으로 소통 능력을 향상시켰다던지 이런걸 통해 직무에서도 관련부서와 잘 소통을해서 기여하겠다 등으로 스토리텔링도 할 수 있습니다.

추가 질문 댓글 주시면 답변드릴게요!

채택도 꼭 부탁드립니다:)



댓글 0
직장상사
2024.03.23
아르바이트 경험에서 혼자 성과를 낸것보다는 동료와 함께 낸것을 강조하는것이 좋을까요?
그리고 풋살동아리나 자격증 스터디를 이끌어 봤다면 이 경험도 적어도 좋을까요?
채택
멘토486
코이사 ∙ 채택률 53%

네 아무것도 일한 경력이 없는 것보다는 아르바이트 내용을 넣어서 직무와 연관지어 어필해주시는게 더욱 좋을 듯 합니다.



댓글 0
직장상사
2024.03.23
있는것이라곤 아르바이트 경험 뿐이라 직무와 어떻게든 연관지어 봐야겠네요!
채택
코르페
코사장 ∙ 채택률 88% ∙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어떤 경험이라도 직무와 무조건 연결시키는게 좋습니다.
없는 경험이라도 증명이 필요하지 않는 경험이면 만들어 내어서라도 작성하는게 필요합니다.
최대한 본인의 관심사와 직무와 연결시켜서 스토리를 한번 만들어보세요.



댓글 0
직장상사
2024.03.23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가지고있는 경험을 부풀려서 적어야하나 고민입니다..
채택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아르바이트는 경력이 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 경험이 되는 부분이라서 저는 이보다는 중견급 이상에서 인턴의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금부터 준비를 해보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을 합니다. 부족한 스펙을 메워주는 것도 이 인턴의 경험이라 생각합니다.



댓글 0
직장상사
2024.03.23
인턴이나 계약직도 지원해보고있지만 마찬가지네요...공백기나 스펙이 문제일까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