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기계과 반도체 cs, 안전관리자, 설비보전(공무직)

안녕하세요.

만 29살 공백기 2년인 취준생입니다.

인서울 야간 4년제 기계과, 공백기 2년 4개월
일반기계기사, 건설기계설비기사, 산업안전기사
오픽 : IH(만료되서 다시 시험 예정이고 IM2 나올것 같습니다)
반도체 공정실습, 나노기술연구협의회 수료증

직무 경험은 딱히 없고 학교 팀프로젝트, 단기 현장에서 화재감시자 2주, 계약직 설문조사원
정도만 해봣습니다.

관심있는건 cs 엔지니어, 설비보전(공무직), 안전관리자 직무인데
서류에서 탈락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무슨일을 한다정도만 알기때문에
어느 분야를 타켓으로 어느직무에서
구직을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공백기 때문에 빠르게 취직을 해야하는 상황이라
현재 연봉3000 초반대를 생각하고 있는데 이직이 잘되는 직무나
앞으로 비전이 있는 직무를 알고 싶습니다.
직장인분들의 조언을 듣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4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구직을 위한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1. 직무 선택: 관심 있는 직무인 CS 엔지니어, 설비보전, 안전관리자 각각의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CS 엔지니어는 고객 지원 및 기술적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며, 설비보전은 기계 및 설비의 유지보수와 관련된 역할입니다. 안전관리자는 산업 현장에서 안전 규정을 준수하고 위험 요소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2. 경쟁력 강화: 직무 경험이 부족한 경우, 관련 자격증이나 교육 이수를 통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S 엔지니어링 관련 교육이나 안전관리 관련 추가 교육을 고려해 보십시오.

3. 네트워킹: 관련 분야의 전문가와의 네트워킹을 통해 정보와 조언을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산업 관련 세미나나 워크숍에 참여하여 인맥을 넓히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 이직 가능성: 설비보전과 안전관리자는 산업 전반에서 수요가 높아 이직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특히, 안전관리자는 법적 요구사항이 강화됨에 따라 지속적인 수요가 예상됩니다.

5. 연봉 및 비전: 연봉 3000 초반대는 시작 연봉으로 적절할 수 있으며, 경험과 경력이 쌓일수록 연봉 상승 가능성이 큽니다. 각 직무의 경력 발전 경로를 조사하여 장기적인 비전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보다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목표 직무에 맞는 지원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니꿈은뭐니
코사장 ∙ 채택률 86%

기계 전공이시면 CS나 공무쪽만 노리시고 안전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비전 측면에서는 cs 엔지니어가 가장 좋고 공무는 커리어적으로 이직이 쉽지 않습니다. cs에 방점을 두시는게 현명합니다.



댓글 0
2
2024start
2024.12.14
1. 제가 아는 반도체 cs는 교대 근무하면서 방진복 입고 장비사 제품 수리같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직 가능성이 높은 비전이 있는 직무인가요?
2. cs 직무를 보면 초대졸 공고도 많은데 대졸이 초대졸 공고에도 지원해서 합격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3. 작은 규모 회사의 cs 엔지니어의 경우 중견이나 대기업 cs로 향후 경력이나 커리어를 인정받는 경우가 많은지 궁금합니다!
4. 공무는 커리어적으로 이직이 쉽지 않다고 하셨는데 설비보전, 설비기술같은 직무는 왜 그런지 알수 있을까요?

질문이 많아서 죄송하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채택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지금 상황에선 설비보전이나 CS직무가 가장 취업이 좋을것 같고 공백기줄이기 위해서 일단은 언급한 직무로 알아보고 지원하는게 좋겠습니다.



댓글 0
2
2024start
2024.12.14
1. 제가 아는 반도체 cs는 교대 근무하면서 방진복 입고 장비사 제품 수리같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직 가능성이 높은 비전이 있는 직무인가요?
2. cs 직무를 보면 초대졸 공고도 많은데 대졸이 초대졸 공고에도 지원해서 합격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3. 작은 규모 회사의 cs 엔지니어의 경우 중견이나 대기업 cs로 향후 경력이나 커리어를 인정받는 경우가 많은지 궁금합니다

질문이 많아서 죄송하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
2024start
2024.12.13
규모는 상관없다고 말씀하셨는데 그럼 후공정, 전공정이나 에치, 포토 공정 같은 분야가 다르더라도 cs는 이직이 괜찮은가요?
채택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저는 공무직을 가장 추천을 드리고 그 다음이 안전이나 CS입니다. 안전이나 CS쪽으로는 역량이나 경험이 특화된 건 아니시라 생각이 되어 가장 먼저 공무직을 추천드렸습니다



댓글 0
2
2024start
2024.12.14
공무직의 경우 규모가 작은 기업에서 근무한 이력도 다른 설비보전 직무로 이직할때 도움이 될까요??

제가 공조냉동이나 열관리, 가스기사등이 없어 유틸리티,설비보전 직무에 지원 불리하다 생각햇는데 가능할가요??

설비보전이나 공무직의 경우 규모거 작은 회사에서 초대졸 위주로 뽑던데 이러한 업무도 메리트가 있는지와 대졸이 지원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