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기능직 vs 환경안전팀

안녕하십니까, 멘토님
환경공학을 전공하고 취업준비 중인 졸업예정자 입니다.

환경공학과 관련된 직무는 채용사이트 ex)사람인, 인크루트, 인디스워크 등 에서 분야 및 직무를 선정하기부터 어려움이 있는 것 같습니다. 건축 분야에서 환경안전을 찾거나 화학 분야에 포함된 경우를 비롯하여 '내 직무의 존재성이 있긴 한걸까'라는 생각이 들만큼 회의감이 드는 요즘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과 관련된 기업 공고를 찾아보고 지원을 하려 노력하는 중입니다.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준비중이라 아직은 연습삼아 기업들에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ex) OCI
그 과정에서 질문사항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그 외 조언도 부탁드립니다.

1. 환경안전팀과 기능직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2. 이직을 통한 대기업 환경안전팀을 목표로 한다면, 첫직장으로 환경 기능직을 지원해도 될까요?
3. 이직을 통한 대기업 환경안전팀을 목표로 한다면, 첫직장으로 TMS(수질/대기) 유지보수 중소기업에 지원해도 괜찮을까요?

답변 4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환경안전팀은 주로 기업의 환경 관리 및 안전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이행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 팀은 환경 법규 준수, 안전 교육, 위험 관리 등을 포함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반면, 기능직은 특정 기술이나 기능을 수행하는 직무로, 환경 관련 기술적 업무나 현장 작업을 주로 담당합니다. 즉, 환경안전팀은 관리 및 정책 중심의 직무이고, 기능직은 실무 중심의 직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첫 직장으로 환경 기능직을 지원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기능직에서의 경험은 환경안전팀으로 이직할 때 유용한 기술적 배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장 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장기적으로 환경안전팀으로의 이직을 목표로 한다면, 해당 분야의 지식과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3. TMS(수질/대기) 유지보수 중소기업에 지원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이직을 통해 대기업 환경안전팀으로 나아가고자 한다면, 관련 분야에서의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소기업에서의 경험은 실무 능력을 향상시키고, 환경 관련 기술적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
학교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1.환경 안전팀의 EHS로 환경,안전 관련 여러 규정관리 사고가 나면 문제파악 해결 합니다. 기능직은 단순 현장직입니
다. 기능직은 현장직이라 4년재가 가긴 어렵습니다.TMS 유지보수도 직무로는 괜찮습니다.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기능직은 흔히 이야기하는 생산직이라 보시면 됩니다. 저는 사무직보다는 현기차 생산직과 같은 직무가 육체적 정신적으로 더 나은 선택이 된다 생각합니다. 저도 사무직이지만 생산직 분들이 부러울때가 자주있습니다


채택
화공쟁이컨설턴트
코사장 ∙ 채택률 82%

1. 질문이 다소 이해되지 않는데, 선택지가 환경안전팀(팀 또는 직무) vs. 기능직(직책)이라 잘못 생각하고 계신 듯 합니다. 또는, 환경안전팀은 팀 자체이고 지원하시는 포지션이 4년제 대졸을 요구하는 환경안전 엔지니어 또는 관리자인지 아니면 생산직인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 생산직을 하신다고 하여 엔지니어로 이직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애초에 직책이 다르고 하는 일이 다르기 때문에 경력 인정받지 못합니다.
3. 대기업에서 용역/하청 주는 극히 일부이기 때문에 아주 가점이나 우대사항에 해당된다고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당장 입사하여 경력을 쌓을 곳이 없다면 입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댓글 0
어나더13
2024.12.30
멘토님께서 질문이 이해되지 않는다는 말에 저도 적극 공감합니다.
저 스스로도 직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정리가 되지 않는다고 느끼는 와중에 1번 답변을 읽으면서 조금은 정리가 되는 것 같습니다.

나아가 멘토님께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4년제 대졸을 요구하는 환경안전 관련 직무(대기업/중견 이상)를 목표로 경력을 쌓고 싶다면 어떠한 업무를 배울 수 있는 중소/중견 기업으로 취직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래 스펙이면 냉정하고 현실적으로 보셨을 때, 3월 상반기 대기업/중견 환경안전팀을 목표로 할 수 있을지 아니면 당장 엔지니어 관련 직무로 지원을 해야할까요? 방향성과 가능성에 대해 조언부탁드립니다.

[현재 대기/수질기사와 산안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학점은 4점대(지방사립대) 입니다. 인턴 이나 학부연구생 경험은 없으며, 대외활동으로는 ESG 관련 6개월 장기 프로젝트에 참여한 적이 있습니다.(수상 X)+어학 1월 중 토스 IH목표]
화공쟁이컨설턴트
2024.12.30
채택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기본적인 안전환경 자격증은 취득하고 계셔서 더 취득할 것은 없습니다. 학점도 좋구요. ESG 프로젝트가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특별히 안전환경 직무에 도움은 되지 않습니다. 그래도 자소서 관련 경험으로 활용하실 수는 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현업관련 경험만 충족되면 되겠는데요.
어떠한 업무를 할지가 아니라 안전환경 직무에 대한 이해가 먼저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상세한 답변을 위해 아래 링크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https://www.coffeechat.kr/with/%EA%B0%95%EC%A7%B1%EB%BD%95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