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에서 전환형인턴으로 신입을 뽑았을 경우, 인턴 기간 종료 후 어떤 사항을 검토 및 평가 하고 정규직으로 전환을 시키게 되나요? 서류나 팀원 평가같은 부분이요!
답변
9
코멘토 AI봇
코멘토
powered by OpenAI
대기업의 전환형 인턴이 정규직으로 전환될 때는 여러 가지 요소가 고려됩니다. 일반적으로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업무 성과: 인턴 기간 동안 수행한 업무의 질과 양이 중요합니다. 목표 달성 여부와 프로젝트 기여도가 평가됩니다.
2. 팀원 평가: 동료 및 상사의 피드백이 포함됩니다. 협업 능력, 의사소통 능력, 팀워크 등이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됩니다.
3. 태도 및 직무 적합성: 인턴의 직무에 대한 태도, 학습 의지, 회사 문화와의 적합성 등이 검토됩니다.
4. 서류 평가: 인턴 기간 동안 제출한 보고서나 업무 결과물도 평가의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규직 전환 여부가 결정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신
신뢰의마부
두산에너빌리티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출퇴근 지각,인사, 회사업무의 성실도, 면접은 회사에서 배운것 설명하는것 일거고 미리 팀에서 어느정도 소스는 알려주실겁니다. 모르는건 항상 물어보는게 좋습니다.
댓글
0
니
니닉넴
작성자
2024.12.16
2차 임원면접 까지 다 끝난 전환형인턴입니다!
니
니닉넴
작성자
2024.12.16
임원면접까지 하고 최종합격자가 되어 전환형인턴 시작하는 거요!
채택
니
니꿈은뭐니
삼성전기
코사장
∙ 채택률 86%
인턴직에 합격을 했다는 것은 사실 직무 수행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역량은 다 이미 검증이 끝났다는 것이구요. 인턴직을 수행하면서 보는 부분은 기본적인 인성과 조직에 얼마나 잘 융화되는지. 그리고 인간관계에 있어서의 부부입니다. 따라서 짧은 인턴직 기간 안에 뭔가 이 친구에게 업무적 성과를 기대하는 것은 사실상 없고 얼마나 조직이 잘 녹아드는지가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입니다.
채택
랄
랄랄라아이티
오티스 엘리베이터
코상무
∙ 채택률 100%
인턴 때 하셨던 업무들, 그리고 태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즉, 직무 역량과 잠재력, 인성, 그리고 회사와의 컬쳐핏까지 모두 보는 데 이상한 실수를 저지르지 않는 이상에는 웬만해서는 합격합니다.
채택
쫑
쫑롱롱
기아
코차장
∙ 채택률 85%
안녕하세요, 취업준비로 고생 많으십니다.
인턴을 하시게된다면 비정규성 업무외에도 과제가 주어질겁니다. 개인과제 or 팀과제등도 있을건데 결국 과제에 대한 결과물이나과 비정규성 업무를 합쳐서 평가를 하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너무 스트레스 받으실 필요없고 편안한 마음으로 정말 열심히 하고 꼼꼼히 하는 모습만 보여주면 될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비정규성 업무는 최대한 신속하게 서류등 작업해서 단시간에 갖다다르면 되고, 개인과제 등은 여러 선배들께 아이디어 듣고 방향성 잡아서 논리적으로 만들면 됩니다. 보통 실무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서 과제를 줄 가능성이 높으므로 현업자들의 조언을 많이 구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요약하면 일하는 자세, 꼼꼼함, 신속성 중심으로 많이 보여주면 될것 같습니다.
꼭 전환까지 되시면 좋겠습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도 부탁드려요 ^^
채택
Top_Tier
HD현대건설기계
코사장
∙ 채택률 95%
인턴동안 과제를 하게 되실 것입니다. 그 과제를 인턴 기간이 종료되는 시점 즘에 임직원들 앞에서 발표를 하게 될 것이며, 그 결과와 함께 면접을 보고 전환이 결정될 것입니다.
채택
두
두두리리
(주)오알더블유에스
코차장
∙ 채택률 69%
안녕하세요 인턴 전환 평가 기준은 기업마다 다르기 때문에 이거다 저거다 말하기 어렵지만 업무 수행에 대한 적극성, 업무 수행 능력, 인성 이 세가지를 대표적으로 봅니다. 인사 잘하시고 항상 싹싹하게 모르는 게 있으면 공손하게 부탁드리며 물어본다. 이정도만 해도 전환은 가능할 것 같습니다. 동기도 잘 챙겨주시구요.
채택
하
하나린0417
지멘스
코이사
∙ 채택률 99%
안녕하세요
어떤사항인지는 회사 내부 규정에 따라 다릅니다. 기본적인 태도 ,지식, 능력 이런부분이 반영됩니다.
1. 업무 성과: 인턴 기간 동안 수행한 업무의 질과 양이 중요합니다. 목표 달성 여부와 프로젝트 기여도가 평가됩니다.
2. 팀원 평가: 동료 및 상사의 피드백이 포함됩니다. 협업 능력, 의사소통 능력, 팀워크 등이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됩니다.
3. 태도 및 직무 적합성: 인턴의 직무에 대한 태도, 학습 의지, 회사 문화와의 적합성 등이 검토됩니다.
4. 서류 평가: 인턴 기간 동안 제출한 보고서나 업무 결과물도 평가의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규직 전환 여부가 결정됩니다.
2024.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