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대학원 진학 과 고민
선배님들 안녕하세요. 이번 25년도에 공과대학 대학원에 진학예정자인 학생입니다.
석사만 할예정이고.. 2곳이 합격했는데, 어디로 가야할지, 취업시장 부분에선 어느 분야가 그나마 메리트가 있는지 여쭙고자 왔습니다.
1. 한곳은 고려대 CCUS 분야입니다. 대기오염물질.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제어 이산화탄소 포집 및 광물탄산화 활용(CCU) 쪽 입니다. 학부생 때부터 해왔던거고, 익숙학 분야지만 취업시장에선 그렇게 수요가 높지 않은것 같습니다(잘모름)
랩실 과제또한 그리 많지 않고 대학원 등록금 해결 받을 수 있습니다.
2. 서강대 모델링 분야 입니다.
-전산유체역학 모델을 이용한 도시대기환경 모델링
- 대기질 모델링/모니터링 (대기질 모니터링 기술 개발), 대기경계층 분석/모델링 (전이대기경계층 분석모수화)
제가 화공 출신이여서 그런지 모델링은 실습때 잠깐 써봤지 직접적으로 공부나 연구나 많은 경험을 해보진 못햇습니다. 모델링을 위한 파이썬도 기초, 심지어 수학도 잘..
1. 고려대학교 CCUS 분야는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 제어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미 익숙한 분야라는 점에서 연구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 것입니다. 그러나 취업 시장에서의 수요가 낮다는 점은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연구실 과제가 많지 않다는 점은 연구 경험을 쌓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학원 등록금 지원이 있다는 것은 재정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긍정적인 요소입니다.
2. 서강대학교 모델링 분야는 전산유체역학과 대기질 모델링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는 현재 환경 문제 해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모델링 기술은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데이터 분석 및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화공 출신으로서 모델링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더라도, 관련 기술을 배우고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취업 시장에서의 메리트는 분야에 따라 다르며, 현재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적 접근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모델링 분야는 다양한 산업에서의 응용 가능성이 높아 취업 기회가 더 많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의 관심과 장기적인 경로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4.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