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데이터 직군에서 품질 직군으로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 직군에서 품질분석 직군으로 변경하고 싶습니다.
학점 : 4.0 / 4.5
학과 : 산업공학과 (부전공 : 빅데이터경영공학)
인턴 : 대기업 보험사 3개월, SI업체 6개월
수상경력 : 증권사 데이터 공모전 우수상, 신용평가사 데이터 공모전 대상, dacon 탄소배출 데이터 공모전 우수상
어학 : 토익 865, 토스 IH
자격증 : Adsp, aqld
이외 : 유럽 교환학생 경영대 6개월
원래 금융권 디지털 직군, 데이터 직군을 준비했습니다.
그런데 막상 보험사에서 인턴생활을 해보니깐, 금융권 취업을 하고 싶지 않더라구요.
(언제든 영업점 근무를 해야하는 가능성, 흥미없는 도메인, 보수적인 환경 등)
그런데 교환학생을 갔다오고 나서 주재원 근무에 관심도 많이 생기고,
덕분인지 금융권 디지털 직무는 더더욱 가고 싶지 않더라구요...
그래서 해외법인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대기업에 품질직군
(품질정보분석, 고객분석) 취업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품질경영기사, 6시그마와 같이 품질 분야에 필수적인 자격증도 없고,,
산공이지만 품질경영론, 산업공학개론, 시뮬레이션 수업 말고는 딱히 품질 부분에서 들은게 없어요 ㅠㅠ
그리고 쓸데없이 경영공학을 복수전공 해버려서 ...
제가 어필할 수 있는 것은 데이터 분석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인턴생활하면서 모니터링 대시보드를 많이 만들었구요 ( 이런 경험은 어떤 산업군에서도 쓸 수 있지 않을까 )
또 품질경영론 수업에서 voc 바탕으로 제품 프로젝트 한 것이 있긴 합니다.
괜히 가능성이 없는 품질 쪽 돌리지 말고 금융권 고집하는게 맞을까요 .. ? ( 근데 그건 또 싫어요 .. )
먼저 학점과 학과, 인턴 경험, 수상경력, 어학과 자격증 등 매우 훌륭한 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 분석 경험과 관련된 인턴 경험과 수상경력은 품질분석 직군에서도 큰 장점이 될 것입니다.
또한, 산업공학과 복수전공으로 경영공학을 하셨다고 하셨는데, 이는 품질분석 직군에서도 매우 유용한 지식입니다. 특히 품질경영론, 산업공학개론, 시뮬레이션 수업 등은 품질분석에 필요한 기초지식이기 때문에 이를 적극적으로 어필하시면 좋을 것입니다.
또한, 데이터 분석 경험을 살려 품질분석 직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분석을 통해 발견된 문제를 품질분석의 관점에서 해결하는 것이나, 데이터를 활용해 품질관리 시스템을 개선하는 등 데이터 분석 경험을 품질분석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품질분석 직군에서도 데이터 분석 역량을 발휘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품질분석 직군에서 필수적인 자격증이나 공부가 없다고 하셨는데, 이는 큰 걱정이 되지 않습니다. 품질분석 직군에서도 자격증이 필수적인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경험과 능력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품질분석 직군으로 전향하기 전에, 품질분석에 대해 더 공부하고 관련 경험을 쌓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괜히 가능성이 없는 품질 분석 직군으로 돌리지 말고 금융권을 고집하는 것이 맞을까 하는 고민도 이해합니다. 하지만 자신이 좋아하고 잘하는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품질분석 직군에 도전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행운을 빕니다!
2024.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