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삼성전자 제조기술 공정설계
23년 하반기에는 메모리 공정설계 지원하였다가 면접 탈하고 이번 상반기에 재도전 하려하는데, 제조기술 부서가 새로 편성되었더라구요
JD에서는 수율 관련 업무가 중점적으로 나타나있던데 기존 메모리, 파운드리 공정설계 부문의 YE 부서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23년 하반기에는 메모리 공정설계 지원하였다가 면접 탈하고 이번 상반기에 재도전 하려하는데, 제조기술 부서가 새로 편성되었더라구요
JD에서는 수율 관련 업무가 중점적으로 나타나있던데 기존 메모리, 파운드리 공정설계 부문의 YE 부서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또한, 제조기술 공정설계 직군의 업무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장비를 사용하고 어떤 공정을 설계하는 등의 업무가 있는지요?
제조기술 공정설계 직군의 업무는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1. 공정 설계: 제조 공정의 전반적인 설계를 담당합니다. 제조 공정의 흐름, 장비 배치, 공정 시간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공정을 설계하고 이를 시뮬레이션하여 검증합니다.
2. 장비 선택: 새로운 제조 공정을 구축할 때 필요한 장비를 선정하고 구매를 담당합니다. 이때는 비용, 성능, 기술력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장비를 선택합니다.
3. 공정 개선: 기존의 제조 공정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찾고 이를 반영하여 공정을 개선합니다. 이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제품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4. 공정 관리: 제조 공정의 생산성, 품질 등을 관리하고 이를 분석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이를 통해 생산 공정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생산량을 최대화합니다.
5. 새로운 기술 도입: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생산 공정을 개선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이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수율 관련 업무는 주로 공정 관리, 공정 개선 업무에서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률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는 업무가 수율 관련 업무에 해당합니다. 또한,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수율을 높이는 것도 수율 관련 업무에 해당합니다.
제조기술 공정설계 직군에서는 다양한 장비를 사용하고 다양한 공정을 설계하는 업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는 웨이퍼 제작을 위한 에칭 장비, 삽입 장비, 세정 장비 등을 사용하며, 이를 통해 반도체 칩을 제작합니다. 또한, LCD 제조 공정에서는 배터리 제조를 위한 코팅 장비, 광학 필름 제조를 위한 프린터 장비 등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장비를 사용하여 제조 공정을 설계하고 이를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2024.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