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신입사원 교육

상사의 입장에서, 신입사원이 입사했을때 사수를 배정하는 주요 기준이 무엇인가요? 물론 신입사원의 특성도 중요한 요인 일 것 입니다!

1. 연차가 높은 사람
2. 제일 업무에 여유가 있는사람(덜 바쁜)
3. 이전에 신입사원을 잘 교육, 훈련시켜서 성공적인 업무 적응을 이끌어낸적 있는 사람
4. 같이 일 할때 꼼꼼하고, 신뢰가 가는사람

신입사원 교육을 많이 해본것이 이직 시 어떤 장점으로 어필 될 수 있을까요?

답변 6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경험과 노하우 보유: 신입사원 교육을 많이 해본 경우, 그만큼 많은 신입사원들과 함께 일하고 교육을 진행하며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는 경험과 노하우를 쌓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이직 시에도 능숙한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2. 적극성과 책임감 강조: 신입사원 교육에서는 신입사원들의 적극성을 끌어내고 책임감을 강조하는 교육이 이루어집니다. 이를 통해 이직 시에도 능동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책임감을 갖고 일할 수 있습니다.

3. 소통능력 강화: 신입사원 교육에서는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하며 업무를 수행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이를 통해 이직 시에도 다양한 사람들과 원활하게 소통하며 업무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4. 새로운 아이디어 제공: 신입사원들은 기존의 업무에 대해 새로운 시각과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입사원 교육을 많이 해본 경우,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어 이직 시에도 기존의 업무 방식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남양연구소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그런거 없습니다.
그냥 그 사람 밑에 사람이 필요하면 그 사람이 사수가 되는거에요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보통 신입사원 교육은 사수-부사수를 연결해 주거나 바로 윗 연차인 분들에게 배정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입사원 연수는 말 그대로 전달을 해주는 정도의 일이기 때문에 이것이 이직시에 플러스요인이 되어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정도의 일은 아닙니다.


블랙드래곤
코부장 ∙ 채택률 81%

사수로 배치되는 사람은 우선 일을 잘하고 꼼꼼하고 신뢰가 가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각 부서마다 문화가 다르기 때문에, 돌아가면서 사수를 맡는 경우도 있습니다.
신입사원 교육 많이 했다고 이직시 장점이 되는 것은 아니나, 이직할때 인터뷰에서 신입사원에게 많은 지식을 전수하고 리더십을 발휘하여 안정적인 회사 적응에 도움을 주었다라고 어필은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채택
니꿈은뭐니
코사장 ∙ 채택률 86%

사수가 될려면 기복적으로 실무능력이 어느정도 받쳐주는 사람이 되어야합니다. 일을 못하고 능력없는 사람에게 사수역할을 부여하진 않습니다.


채택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1,2번은 무조건 배제고 생각보다 3,4번을 많이 시킵니다.
제일 업무의 여유가 있단건 일을 잘못하는 사람일수 있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