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안녕하세요 해석엔지니어와 기구설계 사이에서 고민중입니다.

현재 기계공학과 졸업유예를 한 상태로 구조해석엔지니어를 목표로하나 최소 석사학위 또는 경력 2년을 요구하는 기업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고민이 되어 몇가지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1. 기구설계로 취업하여 경력을 쌓고 해석직무로 이직하는 것이 가능한가요
2. 1의 경우가 성공했을 때 석사학위를 가지지 못한 것에 대해 불이익이 큰가요
3. 요즘 mesh-free나 ai도입으로 단순한 해석이 쉽게 가능해지고 있다는 얘기를 들어 걱정이 되는데 해석분야의 엔지니어로서의 전망과 워라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작성하면서도 생각이 잘 정리되지않아 두서없이 작성하여 죄송합니다. 이 외에도 다른 조언을 해주실 수 있다면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3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기구설계로 취업하여 경력을 쌓고 해석직무로 이직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는 개인의 노력과 능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해석직무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충분하지 않다면 쉽지 않은 과정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구설계와 해석 업무를 병행하며 공부하고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석사학위를 가지지 못한 것에 대해 불이익이 큰지는 기업의 입장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부 기업에서는 석사학위를 가지지 않은 경우에도 경력과 능력을 인정해주는 경우도 있지만, 일부 기업에서는 석사학위를 가진 지원자를 선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석사학위가 있으면 더 좋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경력과 능력으로 경쟁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mesh-free나 AI가 도입되어 해석이 쉬워진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해석분야에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해석분야의 엔지니어로서의 전망은 여전히 밝으며, 능력있는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분야입니다. 또한 워라밸에 대해서는 각 기업의 문화와 정책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기술력과 경력이 높은 엔지니어일수록 더 좋은 워라밸을 누릴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기구설계와 해석 업무를 병행하며 공부하고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해석 분야에서 더 깊은 전문성을 갖추는 것도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끊임없이 공부하고 발전하는 자세를 가지고 노력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이직시에는 이전회사의 네임벨류, 규모와 함께 직무연결성을 봅니다. 해석과 기구설계는 다소 차이가 있는 직무이기 때문에 직무변경을 하면서 이직을 하기에는 다소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메쉬프리는 말 그대로 경향성만 보는 것이지 해석은 별도로 또 진행을 해서 이것이 해석을 대체하는 건 아니라고 생각하빈다.


채택
남양연구소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1. 네 충분히 가능합니다.

2. 아닙니다. 석사는 그냥 스펙이 좋고 더 전문성있는 학사 입니다.
석사든 학사든 회사와서 새로 배워서 거기서 시작이므로, 이후 역량이 중요합니다.

3. AI를 더 잘 활용하는 해석분야 엔지니어가 더 각광을 받겠죠.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