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어떤 전자전기공학과 교수님은요

어떤 전자전기공학과 교수님은 전기전자공학과
전공자로만 구성된 팀으로 청소로봇을 설계하고
만들었는데 궁금한건 어떻게 기계공학과 전공자 없이
전기전자공학과 전공자로만 구성된 팀으로
청소로봇을 만들수 있었는지 알려주세요..

답변 8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전기전자공학과는 전력, 전자, 통신 등의 분야를 공부하는 공학 전공으로, 청소로봇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술들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전자공학과 전공자들이 충분한 기술과 지식을 가지고 있다면, 기계공학과 전공자 없이도 청소로봇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전기전자공학과 전공자들은 기존의 기계공학적인 방식보다 전기전자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기계공학과 전공자들과 협업하면서 서로의 전문 분야를 보완하여 청소로봇을 만들 수 있었을 것입니다.

또한, 현대의 기술 발전으로 인해 전기전자공학과 전공자들이 갖고 있는 다양한 기술들을 활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가진 청소로봇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전자공학과 전공자들이 모여서 팀을 구성하고 협력하여 청소로봇을 만들 수 있었을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남양연구소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새요

기계를 다 설계하지 않구요 기계는 삽니다.
거기에 소프트웨어를 입히는데, 그게 임베디드의 역할입니다.
임베디드는 hw 지식을 기반으로 이에 맞는 소프트웨어로 동작시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채택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전기전자 공학과로 구성된 팀이지만 기계의 본체는 외주를 맡기고 수행을 했을가능성이 크고 직접수행을 하지 않았을겁니다. 소프트웨어만 해당 팀에서 했다고 볼수 있습니다.


채택
블랙드래곤
코부장 ∙ 채택률 81%

제 생각에는 청소로봇의 흡입장치, 바퀴, 외형 등은 모두 외부에서 사오고, 모터, 제어장치, 인식장치 등은 해당 연구소에서 만들지 않았나 싶습니다. 어차피 어떤 제품을 만든다면 0~10까지 모두 만드는게 아니고, 핵심만 자기가 만들고 나머지는 타회사 제품을 사오면 됩니다.


채택
니꿈은뭐니
코사장 ∙ 채택률 86%

이런 경우에는 100프로 기계관련된 설계나 제작은 전부 외주업체를 활용했을겁니다.


채택
다시 돌아온 상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멘티님
해당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내부 회로와 같은 부분은 연구실내에서 진행하고 하드웨어적인 부분은 다른 곳과 협력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더.


도움이 된 답변이라면 채택 부탁드려요!


취업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채택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요즘에는 메카트로닉스라고 해서 기계과 전기를 함께 배우는 학문도 있는등 전기라고 해서 전기만, 기계라고 해서 기계만 할 수 있는 사람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왠만한 수준의 교수님들은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가지고 계십니다.



댓글 0
수학도사
2024.03.24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전기과도 기계에 대해 많이 아나요?
채택
졸린왈루
코사장 ∙ 채택률 98%

회로와 관련된 부분은 협력 없이 내부에서 설계했을 가능성이 크고, 전체적인 도면의 설계 부분은 협력을 병행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