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졸업 유예 고민입니다
지방국립대 공대생이고 학점이 3.89로 애매해요.. 전공은 3.73입니다.
유예를 하고 재수강을 하면서 취준을 하면 3.96까지 올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전공은 3.85
직무 경험이 중요하다고는 하지만 아무래도 학벌/학점이 제일 기본인 것 같아서요
멘티님들 생각은 어떠신가요?
지방국립대 공대생이고 학점이 3.89로 애매해요.. 전공은 3.73입니다.
유예를 하고 재수강을 하면서 취준을 하면 3.96까지 올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전공은 3.85
직무 경험이 중요하다고는 하지만 아무래도 학벌/학점이 제일 기본인 것 같아서요
멘티님들 생각은 어떠신가요?
1. 학점의 중요성: 학점은 취업 시 기본적인 평가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높은 학점은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직무 경험: 실제 직무 경험은 이론적 지식보다 더 중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인턴십이나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실무 능력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시간 관리: 졸업 유예를 선택할 경우, 재수강과 취업 준비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가능할지 고려해야 합니다. 시간과 노력을 어떻게 분배할지 계획이 필요합니다.
4. 취업 시장의 변화: 현재 취업 시장에서는 학점 외에도 다양한 요소가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자기소개서, 면접, 네트워킹 등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국, 개인의 상황과 목표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점 향상과 직무 경험을 모두 고려하여 최선의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202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