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중견 계약직 VS 교육기관 수료
IT 직군입니다. 둘다 직무 관련입니다.
작년 2월에 졸업했고 중견 2번 대기업 1번 정규직 최종 가봤습니다.
올해 취업에 유리한 방향이 무엇일지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중견 계약직
산업 : 보수성 높은 레거시 산업
업무 : 그룹 내부 서비스 구현
기간 : 6개월
장점 : 6개월간 한 사이클 돌려보는 실무 경험이 가능하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단점 : 비IT 산업이라 기대하는 경험을 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계약직 신분상 주도성 발휘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교육기관 수료
활동 : 소프트스킬 및 기초 직무 교육. 프로젝트성
기간 : 약 1년
교육지원금 O
장점 : 긴 시간 체계적인 교육을 들으면서 스타트업/공채 정규직으로 갈 기회를 노릴 수 있습니다.
단점 :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없습니다.
조언드릴 수 있는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현재 취업 시장에서 IT 직군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으며, 미래에도 계속해서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중견 계약직보다는 정규직을 지향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2. 중견 계약직의 경우 6개월간의 경험을 얻을 수 있지만, 비IT 산업이기 때문에 기대하는 경험을 얻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계약직 신분상 주도성 발휘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실제로 일하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3. 교육기관 수료의 경우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지만,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없으며 취업에 대한 보장이 없습니다. 또한 교육기관에서 배운 내용이 실무에서 적용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일하면서 적용해 볼 수 있는 경험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당신의 경우 IT 직군에 관심이 있으며 정규직으로 취업하고자 한다면 중견 계약직보다는 교육기관 수료를 선택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교육기관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로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교육기관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로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중견 계약직이나 교육기관 수료 모두 취업에 대한 보장이 없기 때문에 둘 다 선택하기 전에 장단점을 충분히 고려하고 자신의 관심 분야와 미래에 대한 계획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