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진로 방향 품질, 제어
현재 졸업한지 2년 된 26살 여자입니다.
전기공학과를 졸업했고 학점은 3.83, 전공학점은 4.03입니다.
수상경험, 인턴경험 없습니다.
지난 2년간 공기업을 준비하고 있어서
전기기사, 전기공사기사, 컴활 1급, 한국사 2급 있습니다.
영어를 정말 못해서 ㅜ 오픽 Im1있습니다. 이건 이번달까지 올릴예정이에요!
공기업은 가망이 없는 것 같아서 사기업으로 변경하려고 하는데
직무를 고르지 못하고 있습니다.
제어 - 자동화?라고 해서 PLC관련 교육을 들으라고 하던데 그거 말고는 또 없나요?
관련 자격증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품질 - 품질은 보증이랑 관리가 있다고 하던데 그냥 품질에 대해 검색하면 보통 제약밖에 안 뜨더라구요.
그리고 데이터 분석?을 위해서 빅데이터분석기사나 품질경영기사를 따라고 하던데 6시그마도 해야하
나요? 사실 정말 직무에 대해 잘 몰라서 전기과가 품질쪽을 지원한다 하면 자동차나 배터리인가요...?
전기공부한게 더 도움이 될까요?
이번에 지원한 곳에서는 전기기사나 전기공사기사, 컴활1급, 한국사2급, 오픽 Im1급 이외에도 관련 자격증이 있으면 좋다고 하시는데 전기과에서 지원하면서 관련 자격증을 따라야하나요?
그리고 그러한 자격증들을 따기 위해서는 어떤 공부가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졸업한지 2년이 되었고 전공학점도 높으셔서 많은 사람들이 좋아할 수 있는 이력서를 가지고 계십니다. 하지만, 자격증이나 경력보다는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를 선택하고 그 분야에 대해 깊이있게 공부하고 경험을 쌓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제어 분야에서는 PLC 교육 이외에도 다양한 교육과 관련 자격증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SCADA, HMI, DCS 등 다양한 제어 시스템에 대한 교육과 관련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동화 분야에서는 로봇공학, 인공지능, IoT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를 선택하고 깊이있게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품질 분야에서는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을 보증하고 관리하는 역할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 품질관리, 품질경영, 품질보증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교육과 관련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분석을 위해 빅데이터분석기사나 품질경영기사를 취득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6시그마는 품질 관리를 위한 방법론 중 하나이며,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품질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먼저 품질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쌓은 후에 6시그마를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격증을 따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에 대한 공부가 필요합니다. 전기과에서 배운 내용이 해당 분야와 연관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를 선택한 후에 그 분야에 대해 공부하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자격증 취득을 위해서는 해당 분야에서 인턴 경험을 쌓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실무 경험을 쌓고 자격증 취득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를 선택하고 깊이있게 공부하고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격증이나 학점보다는 자신의 역량과 노력이 중요합니다. 자신이 원하는 직무에 대해 깊이있게 공부하고 준비하면서 사기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경험을 쌓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2024.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