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화학공학과 취업 분야, 직무 고민

안녕하세요
지방대 4년제 화학공학과 학사입니다. 1년정도 바이오 다루는 연구실에서 학부연구생을 했고, 연구와 맞지 않다고 생각되어 나오게 되었습니다.

1. 경험 살려 간다면 바이오 회사 취업이 맞지만, 반도체나 배터리 계열과 비교해서 연봉이 꽤 차이난다는 글이 많아서 반도체나 배터리쪽도 눈길이 가고 있습니다. 연봉 차이가 석사부터 나는 것인지, 학사 출신도 차이가 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2. 현재 가장 큰 스펙이 학부연구생 경험이다보니 이것을 살려서 직무 지원하고 싶은데, 알앤디 제외하고 연관성 있는 직무가 있을까요?
3. 생산기술 직무 알아보고 있는데, 관련 경험과의 연관성이나, 화학공학과 출신으로서의 티오가 어떤지 알고싶습니다.

질문 범위가 넓은만큼 한두개의 답변도 감사히 받겠습니다.

답변 3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지방대 4년제 화학공학과 학사님,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1. 바이오 회사 취업과 반도체나 배터리 계열 취업의 연봉 차이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각 분야, 회사의 규모와 상황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말씀드리자면, 반도체나 배터리 산업은 높은 기술력과 경쟁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높은 연봉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바이오 산업은 기술적인 부분보다는 신약 개발 등에 따른 장기적인 이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연봉이 낮을 수 있습니다. 학사 출신이더라도 경력과 기술력에 따라 연봉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연봉에 대해서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자신의 관심 분야에 맞는 직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학부연구생 경험을 살려서 직무를 선택하시려는 것은 좋은 생각입니다. 바이오 산업에서는 연구 개발, 생산 및 품질관리, 마케팅 등 다양한 직무가 있습니다. 연구 경험을 살려서 연구 개발 직무를 선택하시는 것도 좋은 선택일 수 있고, 생산 및 품질관리 직무도 연구 경험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 산업과 관련된 분야의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에서는 마케팅 직무를 맡는 사람들도 필요합니다. 따라서 여러 분야의 직무를 살펴보시고 자신의 경험과 관심 분야에 맞는 직무를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3. 생산기술 직무는 제조 공정을 개선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기술을 의미합니다. 화학공학과 출신이라면 생산기술 직무에 관심을 가지는 것도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화학공학과는 화학 공정의 원리를 이해하고 설계하는데 필요한 기초 지식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화학공학과의 경우 산업체에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의 직무에 적합합니다. 생산기술 직무에 관심을 가지신다면 화학공학과 관련 공정 최적화나 공정 개선 등에 대한 경험을 쌓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부족하신 것 같아 죄송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자신의 경험과 관심 분야에 맞는 직무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한 시기입니다. 다양한 분야의 직무를 살펴보시고 자신의 관심 분야에 맞는 직무를 선택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학공학과 출신이신 분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장점을 발휘하고 자신만의 색깔을 가진 직무를 선택하시는 것이 가장 좋은 선택일 것입니다. 화학공학과 취업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다시 질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곰직원
코상무 ∙ 채택률 96%

안녕하세요. 멘티님.

1. 기본급은 제약 바이오가 높습니다. 근데 성과급이 없는 회사들이 많습니다. 처음에는 제약 바이오가 높은 경우가 많지만, 연차가 올라갈수록 반도체와 배터리 쪽의 성과급이 많기 때문에 훨씬 높아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학사, 석사를 포함 동일한 부분입니다.
2. R&D를 제외한다면 현재 상황에서 QC 및 QA 쪽 그 다음으로 생산관리 또는 생산기술 지원해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나마 연관성 있습니다.
3. 전공이 깡패입니다. 기계공학과 및 화학공학과는 본인이 마음먹기에 따라서 갈 수 있는 산업분야, 할 수 있는 직무들이 많습니다. 어느 분야든 TO 가 많은 분야 및 직무들이니 우선 산업분야 또는 직무를 선택하시고, 지원하시면서 관련 자격증 및 스펙들을 채우시는 것이 급선무입니다.


채택
오버더SKY
코사장 ∙ 채택률 89%

안녕하세요 멘티님
바이오 연구실에 있었던 경력을 바이오회사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바이오 특성상 정밀해야된다는 점, 품질관리에 민감하다는 점은 반도체나 배터리, 소재쪽과 비슷한 부분이 있어 충분히 활용할 만합니다. 실제로 활용할 때에만 바이오 물을 싹 빼고 역량에만 집중해서 글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그 역량은 생산이나 품질에서도 쓰이는 만큼 연결하시면 됩니다.
TO 측면에서는 최근 반도체가 증설이 활발합니다. 그러다보니 가장 많이 뽑습니다. 그리고 화공과가 그 중에서 메인전공 중 하나다보니 가장 많이 뽑습니다. 배터리의 경우에는 안타깝게도 최근 증설이 주춤합니다. 어느 정도 사람을 뽑겠지만 반도체보다는 덜 뽑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반도체를 준비하신다면 전공이론을 디스플레이에도 연계할 수 있는만큼 플랜비로 디스플레이도 준비하시길 권해드립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