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모든 회사 / 생산관리

Q. 품질, 생산 어떤것에 집중을 해야할까요?

저는 본전공 화학과 복수전공 화학공학부입니다.
통계적 공정관리(spc)
CFD(전산유체역학 - 반응기 설계) - 정출연 인턴 6개월
aspen - 학부연구생
그외 봉사 대외활동 등입니다.

분석기기를 다뤄본적이 없어 품질 관련 직무 강점이 없는데 화학이 품질을 주로 많이 가다보니 고민이 됩니다

답변 5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품질과 생산 중 어떤 분야에 집중할지는 개인의 경력 목표와 관심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화학과 화학공학을 전공하셨고, 통계적 공정관리와 전산유체역학에 대한 경험이 있으므로, 두 분야 모두 적합할 수 있습니다.

품질 관리 분야는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고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며, 분석기기 사용 경험이 부족하더라도 통계적 공정관리와 관련된 지식은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품질 관련 교육이나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생산 분야는 제품의 효율적인 생산 공정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데 중점을 두며, 전산유체역학과 Aspen 소프트웨어 경험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 분야에서는 공정 최적화와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습니다.

결국, 본인의 경력 목표와 흥미를 고려하여 품질 또는 생산 중 어느 쪽에 더 집중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적인 경험이나 교육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오버더SKY
코사장 ∙ 채택률 89%

안녕하세요 멘티님
전공은 화학인데, 경험은 화학공학보다 더 경쟁력있게 쌓으셨군요. 아스펜 경험과 CFD 경험이 굉장히 눈에 띄입니다.
저는 품질 말고 생산관리로도 추천드리는 편입니다. 특히, 정유, 석유화학, 정밀화학(소재) 쪽으로 강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소재는 생산관리에 화학과가 종종 가는만큼 더욱 경쟁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채택
다시 돌아온 상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멘티님
해당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경험을 봤을 때 생산쪽이 더 가까운 것 같습니다.

SPC와 ASPEN을 다뤄보셔서 어필하기 유리할 겁니다.


도움이 된 답변이라면 채택 부탁드려요!


취업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채택
졸린왈루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멘티님

품질보다는 생산기술이 적합해보입니다.
화학에서 생기도 많이 갑니다.

멘티님의 취업에 좋은 결과 있길 바랄게요~


채택
흰수염치킨
코이사 ∙ 채택률 80%

안녕하세요. 멘토 흰수염치킨입니다.
화학이라고 품질 선택할 필요없어요
개인 준비한 방향에 맞게 가셔야돼요
지금까지 준비한 경험이 생산에 맞아서 생산으로 지원하면 될 거예요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_^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