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 - / 생산기술

Q. 무엇이 문제일까요...참 답답해서 선배님들께 조언구합니다.

16년도에 지거국 졸업 후 이번까지 2년째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취준생입니다
생산기술 분야에 취업목표를 두고, 이곳저곳에 서류를 제출해보아도 합격률은 10%도 되지 않고, 서류통과된 곳도 번번히 면접탈락... 이제는 취준기간이 너무 길어져서 좋은 곳은 생각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자신감도 많이 떨어졌고 어디서 절 써주기는 할 지 걱정도 됩니다.
제 스펙을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학점 3.45/4.5, 토익 765(이전에 있었던 성적은 기간만료로 갱신 중에 있어서 금방 800이상은 만듭니다) 토스 6급, 수상 5회, 교내외 대외활동 2건, 자격증은 공조냉동기사, 생산품질관리사 등 3건, 국가기관 생산기술 교육이수 등이 있습니다.
자소서,면접연습도 쟁쟁한 기업에 합격한 주변 지인들 통해서도 받아보는데 별 문제없다고 하는데...서류전형에서는 학점이나 민간자격증을 기재해서 많이 떨어지는 걸까요? 그게 아니라면 앞으로의 취준기간에 무엇을 더 준비해야 할 지 냉정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답변 3
채택
휴면계정

생산기술...일단 목표 업무가 너무 포괄적입니다.
공정관리를 원하신다면 산업인력공단 기사자격증 2종(산업안전,품질관리)은 있으셔야 합격확률이 높습니다.
교육이수 역시 별다른 가산점이 없으니 산업인력공단 자격증 취득히 제일 시급해 보입니다.

또한 생산 관련 직무는 경력직 채용비율이 높습니다.
1,2년내에 원하시는 기업에 입사를 못할 경우 중소업체에 3~5년정도 경력을 쌓고 경력직 채용을 노리는게 현명한 계획이니 참고하십시오.


채택
휴면계정

서류전형은 스펙과 자소서 이외에는 평가할 수 있는 근거가 없습니다. 지원자분이 서류에서 많이 탈락하신 이유는 둘 중에 하나 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자격증이나 대외활동 경험은 있으시네요. 혹시 대외활동 경험이 생산기술과 관련된 경험이 맞나요? 이게 맞아야만 진정한 경험입니다. 생산기술과 관련된 경험이 아니라면 서류전형에서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어학점수를 올리는 것만 하시면 다른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자신감을 잃지 마세요. 그리고 회사 눈높이를 다양하게 (대기업~중소기업) 까지 범위를 넓혀서 찾아본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 같습니다.


채택
화성남
코부사장 ∙ 채택률 83%

멘티님. 안녕하세요.

우선 윗 멘토분께서 말씀해주신대로, 생산기술이라고 하는 것이 너무 포괄적입니다.
일단은 기계공학과를 나오셨다면, 제가 알기로는 지원 못하는 곳이 없는 최고의 전공중 하나입니다. 자동차부터 조선, 그리고 건설까지.
입사지원에 범위를 너무 한정짓지 마시고 신규 채용에서 기계기술직군을 뽑는 곳이라면 어디든 지원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영어 성적을 조금 상향 조정하시기 바랍니다.
토익 800점도 낮은 점수는 아니지만, 제가 공채 입사하던 11년 전과 비교하여 최근 입사하는 신입사원들 보면 평균이 900점 이상입니다.
그리고 대부분이 토스 7 이상이나 오픽 IH이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기계직으로 가시면 어느 회사를 가시든 영어가 업무에서 어느정도 비중을 차지할 수 밖에 없기에 기업도 학점보다는 오히려 영어를 더 본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그리고 한가지 팁을 드리자면, 건설쪽에서는 최근 시공쪽 인력은 수요보다 공급이 많고, 안전같은 직종은 공급이 적어 사람이 부족합니다. 시간이 되신다면 일주일 정도 공부하셔서 건설안전기사나 산업안전기사를 하나 따두시길 제안 합니다. 기계쪽 자격증을 이미 따보셨기 때문에 훨씬 수월하게 공부하실 수 있을 듯 합니다.

정리를 하자면,
1) 영어는 지금도 훌륭하지만 조금 더 업그레이드 해주시고, 면접까지 가실 경우 최근에는 주제를 주고 영어로 토론을 시키는 면접도 많으므로 영자 신문 꼭 놓지 말고 보시기 바랍니다.
2) 자격증은 안전쪽으로 하나 정도 더 따주시고, 직종 관련해서는 추가 자격증은 안 하셔도 될거 같습니다.
3) 자기소개서등은, 유튜브 같은 곳에 보면 컨설팅을 주로 하시는 분들이 자기 PR자료를 많이 올려두셨습니다. 그분들의 PR자료를 꼭 참조하세요. 이미 합격하신 지인들은 자기일이 아니므로 그냥 마냥 좋다라고만 해주실 확률이 있습니다. 본인의 자기소개서에 스토리가 들어있는지와, 다른 지원자들보다 차별화된 포인트가 있는지를 다시 한번 잘 만들어진 전문강사들의 것고 비교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