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모든 회사 / 생산기술

Q. 스마트팩토리교육이 생산기술직무에 도움이될까요?

안녕하십니까 이번2월에 졸업하게될 취준생입니다. 생산기술/설비 희망합니다.
일단 스펙은
학점 :3.51
어학 :토스im3(130)
자격증 :전기기사, atc2급(취득예정)
활동: 프로젝트2회(수업내 과제 느낌), 코멘토5주 입니다.
활동이 많이 부족하다고 느껴 plc관려놔여 수업을 찾던도중 인력개발원에서 주최하는 약7개월짜리 스마트팩토리수업을 발견하였습니다. 내용을 요약하면

1.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시스템 운영 역량 강화
IoT, 물류 시스템, MES 구축,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공장 구현 및 운영 기술 학습.

2. 전공 실습 중심 교육
센서, 모터, 공압·유압, HMI, PLC 제어 등 415시간의 전공 실습으로 자동화 핵심 기술 습득.

3. 산업체 요구 기술 심화
MES 연동, CPS 설계, IoT 구축, 협동로봇 제어, 빅데이터 분석 등 465시간의 산업체 요구 기술 집중 훈련.

이 교육이 저에게 많은 도움이 될까요? 올해는 취업못해도 된다는 생각입니다.

답변 4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스마트팩토리 교육은 생산기술 직무에 매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교육 과정은 IoT, 자동화 시스템, MES 구축 등 현대 산업에서 요구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생산기술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특히, 전공 실습 중심의 교육은 실무 능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며,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기술을 심화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경험은 이력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향후 취업 시 유리하게 작용할 것입니다.

취업 준비 과정에서 필요한 기술과 경험을 쌓는 것은 중요한 전략이므로, 스마트팩토리 교육을 통해 얻는 지식과 실습 경험은 향후 진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푸짐한포버지
코대리 ∙ 채택률 100% ∙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

올해 졸업 후 취업준비로 고민이 많으실 거 같습니다. 작성자님 글을 토대로 제 생각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정량적인 스펙면에서 어학(토스) 성적을 IH정도로 맞추시는 것이 이상적이며 ATC2급이 오토캐드 자격증으로 파악되는데 오토캐드도 물론 있으면 좋은 스펙이나, 해당 자격증보단 차라리 산업안전기사를 취득하시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으로 인력개발원 7개월 교육과정 커리큘럼을 읽어보았는데요. 향후 생산기술 직무를 지원하시기 위해 준비하시는 활동으로 당장 취업이 급하신 부분이 아니라면 저는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여기서 드리고 싶은 말씀은 해당 과정을 한다고 해당 과정만 해서는 안되며 틈틈히 위에 말씀드린 스펙업과 기업 인턴을 지원하시면서 실무를 접할 기회를 최우선으로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올해는 좋은 결과 있으시길 응원하겠습니다 :)


채택
하나린0417
코이사 ∙ 채택률 99%

안녕하세요

어느정도 도움이 되는것처럼보이긴하네요
다만 지원하는 회사와 동내용이 fit하지 않다면 크게 메리트가 없을것 같구요


채택
취업다왔다(범멘토)
코과장 ∙ 채택률 82% ∙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해당 교육 과정을 보니까, 전기 전공의 생산기술과 정비 업무가 적절하게 잘 섞여 있는 듯 합니다.
시간이 충분하다고 생각하시면 해당 교육 과정을 듣는 것을 추천드리며,
들으면서 동시에 관련 회사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