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모든 회사 / 전략기획

Q. 데이터 기반 전략적 사고능력이란 무엇인가요

이번에 지원하는 전략기획 직무의 필요요건에 '데이터 기반 전략적 사고능력'이라고 되어있는데, 이 능력이 필요한 전략기획은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 건가요?
(굉장히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툴을 이용해서 어떤 정보를 얻어내서 어떤 전략을 수립한다 이렇게요. 부탁드립니다!)

제가 코멘토 직무 캠프에서 연간 실적 보고서를 바탕으로 다음 연도 전략/인사이트를 작성해본 경험이 있는데 이것과 비슷한 거 맞나요?

답변 3
채택
s
skdlvk
코상무 ∙ 채택률 73%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를 분류하고 수집해서 정리하여

유사 사업을 기획한다거나, 대처방안을 수립한다거나 하는 것이지요.

해당 경험 또한 충분히 가능하십니다 !


채택
기획재정담당관
코차장 ∙ 채택률 74%

전략기획 업무 특성상 모든 결과에는 근거가 있어야 합니다.
문과적인 사고보다는 이과적인 사고를 더 필요로 하는데 풀어서 말씀드리자면
사람의 감으로 나온 결과보다 정량화된 근거를 가지고 도출된 결과를 더 중요시 한다는 것입니다.

가령 커피 프랜차이즈 사업을 신사업으로 진행하는데,
1. 풍수지리, 무당, 부동산업자의 감
2. 일별 유동인구, 주변 커피숍의 개수, 동네 연령별 인구수, 10년간 소비자가 선호하는 메뉴 리스트

2가지 중에 무엇이 더 경영진을 설득시키기 좋을까요?

최신 트렌드는 빅데이터를 통한 고객분석이라던지 부동산 분석 등 데이터를 근거로 정보를 만들어내는
추세입니다.
물론, 관련 S/W 사용 등은 입사하여 배우거나 미리 배우실 수 있습니다.
기업별로 사용하는 S/W가 다릅니다만, R이라든지 인터넷 검색하시면 다양합니다. 빅데이터 분석 툴이라고 검색하시면 됩니다.

다음 년도 전략/인사이트 작성도 비슷한게 맞습니다.

좋은결과 있으시길 바랄께요~


채택
요를레히
코주임 ∙ 채택률 84%

전략 수립의 출발점은 문제 상황 해결(또는 문제 심각성 해소)입니다.

어떠한 조직이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 이미 어떠한 문제 상황을 겪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해결의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문제가 무엇인지 명확히 특정
2) 표층 원인 탐색
3) 표층 원인을 야기하는 심층 원인 추적
4) 심층 원인을 컨트롤할 수 있는 방안 제시

심층 원인을 컨트롤한다면, 연쇄작용에 의해 가장 상단에 위치한 문제 상황이 해결됩니다.
전략은 이러한 문제 상황 해결을 위한 '대안 도출'을 지칭합니다.

문제 해결 능력은 비판적 사고(또는 분석적 사고)를 통해 개선할 수 있습니다만, 이는 지나치게 학술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데이터 기반의 전략적 사고 능력을 실무에서는 데이터 분석 툴을 이용한 (가설) 증명, '숫자' 활용/이해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술한 이론적인 부분과는 다소 상이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