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QA재직자분들께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제약회사 일반의약품 생산팀에서 1년반 정도 근무했엇는데요.
벨리데이션과 gmp문서를 좀더 세밀하게 다루는 품질보증쪽이 더 관심이가서 알아보는중인데 생산경력을 어필해도 괜찮을까요?
보통 qc에서 qa로 가는 경우는 많이 봣는데 생산에서 가는 경우는 보지 못해서요...영어성적은 토익820(만기직전), 오픽 IH, 토플 85입니다 ㅠ
안녕하세요. 저는 제약회사 일반의약품 생산팀에서 1년반 정도 근무했엇는데요.
벨리데이션과 gmp문서를 좀더 세밀하게 다루는 품질보증쪽이 더 관심이가서 알아보는중인데 생산경력을 어필해도 괜찮을까요?
보통 qc에서 qa로 가는 경우는 많이 봣는데 생산에서 가는 경우는 보지 못해서요...영어성적은 토익820(만기직전), 오픽 IH, 토플 85입니다 ㅠ
개인적인 스펙은 떠나서 먼저 생산팀에서 QA팀으로 가는 것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다만 경력인정을 받기위해서는 부서이동으로 가는 것이 제일 좋을 것이고
회사 자체를 이직하시는 것이라면 중고 신입으로 노리셔야할 겁니다.
일반적으로 QC에서 계시다가 QA가는 경우가 더 많지만 생산에서 QA를 가는 경우도 꽤 많습니다.
그리고 QA팀에서도 생산팀 경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데려오는걸 선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그 생산팀 분의 개인적 능력때문에 그런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한 이유는 어떠한 업무냐에 따라 QC적인 요소보다 생산 환경, 프로세스, 공정에 대한 이해도 등 생산 관련 지식이 더 필요한 직무도 있기 때문입니다.
일탈이나 변경 건에서도 생산쪽과 관련된 부분들도 많을 거구요, 밸리데이션을 QA팀에서 하는 경우 또는 위험평가나 영향평가 등 그런 타 부서의 경혐이 도움되는
다양한 업무들이 있으니까요.
먼저 멘티님께서 생산팀에서 어떤 업무를 주로해왔고 어떠한 경력을 갖췄는지 그리고 왜 품질쪽으로 옴기는지 자신의 경험을 어떻게 활용할지 등
이러한 부분을 잘 갈고닦아 본인만의 장점으로 내세운다면 충분히 가능한 부분입니다.
2020.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