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모든 회사 / PM/PO

Q. 신입 PM을 뽑는 경우에는 회사가 어떤 부분을 기대하고 뽑는건가요?

PM 공고 중에 신입을 뽑는 경우에는 신입에게 어떤 부분을 기대하고 뽑는건가요?

경력없이 신입 PM으로 시작해보신 분들이 계시다면 회사에 들어가서 어떤 일을 수행하셨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5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신입 PM을 채용하는 경우, 회사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부분을 기대합니다. 첫째,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관심이 필요합니다. 둘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팀워크를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력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셋째, 문제 해결 능력과 분석적 사고가 요구됩니다. 넷째, 학습 의지와 적응력이 높아야 하며, 새로운 도구나 방법론을 빠르게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신입 PM으로 시작한 경우, 회사에서는 주로 다음과 같은 업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프로젝트 계획 수립, 일정 관리, 팀원 간의 조율, 고객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 진행 상황 보고 등의 업무가 포함됩니다. 또한, 선배 PM의 지원을 받아 실무 경험을 쌓고,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질적인 경험을 축적하는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r
reinheart
코차장 ∙ 채택률 62%

제 여친이 pm인데 회사에서 하는일 그냥 다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2-3년은 일단 자기 업이 없고 그냥 해요 그냥.. 그래서 순종적인지.. 체크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피엠이라고 해서 경력만 뽑는 건 아닙니다. 신입이 몇년간의 수련기간을 거쳐야 어느정도 수준의 역량이 되는 건 맞지만 그래도 신입을 뽑아서 키우는 경우도 상당히 있습니다. 의미를 부여하기 보다는 회사의 스타일이라 보셔도 됩니다



댓글 0
수양맛우유
2025.01.04
신입을 뽑는 경우에는 PM업무를 팀으로 진행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채택
남양연구소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동기 중에 신입 PM으로 들어온 애들 많습니다.

일단 사수 따라서 하나하나 해보게 되고 나중에 자기가 그 프로젝트를 하나 맡으면서 확장하게 됩니다.
처음엔 프로젝트나 돌아가는걸 하나도 모르니까 그거부터 차근차근 배우구요, 어쨋든간에 주변에서 도와주는 사람이 있습니다.

큰 역량을 기대하지 않구요, 프로젝트를 이해할 수 있는 기본적 지식/역량이 있는가? 그리고 소통이 잘 되는 사람인가 를 보고 뽑게됩니다.



댓글 0
수양맛우유
2025.01.04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PM이 팀단위로 움직이게 되는건가요?
핫멜트
코사원 ∙ 채택률 25%

제조업에서의 프로젝트 매니저라면 태도적인 부분을 많이 봅니다.

1. 다양한 실무경험 (실무경험이 없다면 인턴 및 현장실습, 프로젝트 경험)을 우대합니다.
2. 수동적인 부분보다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했던 경험을 우대합니다.

면접에서도 필수적인 질문으로 아래를 검증합니다.
1. 워라밸을 버릴 수 있는 직원인가
2. 배우려는 태도

PM으로 입사하신다면
1. 연구개발부터 제조까지 컨트롤합니다. (연구개발 직원부터 현장 직원들과 의견을 맞추고 제품출시를 이끌어가야만 합니다.)
2. 주말 근무, 협력사 방문
3. 벤치마킹, 신제품 방향성 기획 및 개선 업무를 도맡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