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산업 · 삼성전기 / 연구개발

Q. 삼성전기 지원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상반기에 삼성전기 연구개발직에 지원하려고 합니다.
전기는 다른 계열사와 달리 e직군에서 업무를 나눈다고 알고있는데 자소서에서 원하는 직무를 어필해야할지 아니면 직군에 맞추어 써야할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수원 사업장을 선택하고 싶은데 사업장 채용 규모에 따라 합격률이 달라질지 궁금합니다.

답변 4
채택
날틀
코과장 ∙ 채택률 90% ∙
회사 산업
일치

전자와 다르게 F직군은 없이 설비쪽도 전부 E직군으로 되어있고, 코딩과 같은 S직군은 일자체가 없는 회사입니다. 중앙연구소에 R직군과 스텝쪽과 마케팅을 제외하면 회사 전체가 전부 E 직군입니다
(생산인력제외)
직군에 맞추어 쓰시는걸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회사에서 어떤 직무에 인력이 필요해 채용이 진행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특정한 직무를 지정하는건 리스크가 커 보입니다.
제가 입사할때는 전사입문 교육이 끝난후, 사업부 지원이 있었고, 사업부 배정후에 사업장 배정이 진행 됏었습니다.
다만, 확실한건 이번 채용의 대부분은 컴포넌트 사업부의 부산사업장 인력일거라는 사실입니다
3개 사업부중에 매출 이익이 압도적이고, 사업부 안에서도 수원 인력을 부산으로 파견지원 보낼 정도로 부산인력이 모자랍니다


채택
취업지원군
코사장 ∙ 채택률 81% ∙
회사 산업
일치

직군에 대한 답변은 앞선 멘토님께서 충분히 해주셔서 사업부 선택과 합격에 대해 의견을 드릴게요.
현재 컴포넌트사업부가 높은 수익률을 거두고 있어 많은 인원을 채용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런데 이 사업부 산업전장 부분이 부산에 많은 인원이 필요하여 부산배치 확률이 높습니다.
기판솔루션사업부는 부산 세종 비중이 크긴한데 채용이 많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어 제외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합격률을 높이려면 컴포넌트사업부를 선택하시는게 맞고 합격하고도 수원사업장에 남는것이 더 의미가 있다면 중앙연구소 쪽으로 지원하면 수원 잔류가 가능합니다.


메칸더V

수원잔류위해서는 기판사업부 선행개발이나 콤포넌트 중앙연구소, 모듈사업부 정도가 되야해요. ㅎㅎ


삼성전기
코전무 ∙ 채택률 73% ∙
회사 산업
일치

크게 E직군 과 D직군이 있는데 두 직군에서 제조기술, 연구개발로 나뉘어 집니다. 연구개발이 목표라고 하면 E, D 직군과 상관없이 연구개발 지원자로서 경험과 포부를 표현하시면 됩니다. 수원사업장이 목표라면 중앙연구소 소속의 부서나 카메라 모듈을 담당하는 사업부로 지원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컴포넌트나 기판은 부산에 집중하고 있는 분위기 입니다. 사업장에 따라 규모나 합격률은 나뉘지 않고 합격 후 배정이 되는 것이기에 그부분은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