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반도체 공정기술 직무
안녕하세요. 양산 trend 모니터링 중에 이슈를 발견하면 어떤 단계로 대응하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계측 data에 산포가 발생하면 먼저 자공정 문제인지 확인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공정 관점, 장비 관점에서 분석할 텐데, 원인을 도출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장비 관점의 경우 위 질문에 답변해 주신 방법으로, 장비의 어떤 부분이 문제인지 도출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공정 관점의 경우 파라미터가 한두 가지도 아닐 텐데 특정 파라미터가 산포의 원인이라고 결론을 지을 수 있나요? 결론짓기보다는 여러 조건으로 split을 짜서 테스트한 다음 가장 괜찮은 조건으로 다시 양산을 진행하는 것인가요?
감사합니다.
원인 도출 방법으로는 통계적 공정 제어(SPC) 기법을 활용하여 데이터의 변동성을 분석하고, 특정 패턴이나 이상치를 식별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또한, 공정 흐름도와 장비 로그를 검토하여 문제 발생 시점과 관련된 변수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장비 관점에서는 장비의 성능, 유지보수 이력, 센서 데이터 등을 분석하여 문제의 원인을 찾습니다. 공정 관점에서는 다양한 파라미터를 고려해야 하므로, 특정 파라미터가 산포의 원인으로 지목되기까지는 여러 조건을 비교하고 실험을 통해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각 파라미터의 변화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최적의 조건을 찾아 양산을 재개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와 같은 접근 방식을 통해 문제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2024.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