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 · 삼성전자 / 공정설계

Q. 반도체 연구소 공정 기술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삼성전자 상반기 공채 반연 공정기술 직무에 지원하는 졸업생입니다.
저는 학부에서 플라즈마를 전공해서 etch 공정을 타겟팅 해서 작성을 하려는데요,

4번 문항 (지원한 직무 관련 본인이 갖고 있는 전문지식, 경험 등 작성)에 코멘토에서 했었던 후공정기술 부트캠프를 통해 데이터를 분석적으로 다뤄본 경험이 있다. 라는 소재를 사용해도 될지?를 여쭤보고 싶습니다.

비록 etch는 아닌 후공정 기술이긴 했지만, 당시에 FMEA등을 참고하면서 chipping이 일어난 원인을 분석하고 대처 방안을 발표해 보는 프로그램 이었는데 '데이터를 분석적으로 다뤄본 경험' 이 제가 지원하는 반도체 연구소 공정기술 직무에도 어필할 수 있는 경험인지가 궁금합니다.
사업부 공정기술이었으면 양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etch issue들과 엮어서 말할 수 있을텐데.. 반연은 선단 공정 개발이라 맞는 말인지 궁금하네요..ㅎ

답변 4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네, 후공정 기술 부트캠프에서 데이터를 분석적으로 다뤄본 경험이라면 이를 통해 지원하는 반도체 연구소 공정기술 직무에도 어필할 수 있습니다. 공정 개발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슈들을 분석하고 대처하는 과정에서도 데이터를 분석하는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FMEA를 통해 원인 분석과 대처 방안을 발표한 경험 또한 반도체 공정 개발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경험을 통해 지원하는 직무와 관련된 전문지식과 경험을 갖고 있다는 것을 어필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탁기사
코사장 ∙ 채택률 83% ∙
회사 직무 산업
일치

반연 공정기술 즉 공정개발도 선단공정 개발이지만 양산과 유사하게 프로세스흐름이 진행되고 후공정보다도 전공정 어필늘 추천드립니다. 후공정 어필을 위해선 avp개발실이 낫습니다. 아무래도 반연이 8대공정을 다루기에 전공정을 쓰시는 분들이 더욱 많습니다.


꼬리링
코차장 ∙ 채택률 68%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가능하십니다. 데이터 역량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해당 역량을 토대로 반도체 연구소에서 어떻게 기여할지 엮어서 적어주셨다면

베스트가 아닐까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코칭E
코부장 ∙ 채택률 65%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사용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연구단에서도 해당 경험이 도움이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