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삼성전자 / 공정설계

Q. 삼성 파운드리 공정설계 직무 지원할 때 layout 관련 경험

삼성전자 파운드리 공정설계 직무에 mask tape out 최적화 업무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1. layout과 netlist를 검토하고 LEF(Libray Exchange Format) file을 생성한 경험
2. 다양한 EDA tool 활용한 회로 설계 및 분석 경험
이 있는데요. 특히 1, 2번 경험을 그나마 살리기 위해선, 공정 설계 직무의 PA/YE 팀 중에 어디를 타겟팅하고 적는 것이 좋을지 궁금합니다.
(TCAD 소자 설계 경험 / 공정 실습 / 공정 관련 인턴 경험 등도 있지만, 상위 경험도 활용할 수 있다면 활용해보고 싶습니다.)

이번 공채에서 새로 뽑는 제조 및 기술 사업부가 YE 팀이 분리되어 생긴 것 같아 TO는 더 많을 것 같지만, 스펙에 맞는 사업부에 소신껏 지원해야 할 것 같은데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답변 3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위의 경험들을 토대로 삼성전자 파운드리 공정설계 직무를 지원할 때에는 PA/YE 팀 중에 어디를 타겟팅하고 적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이는 삼성전자 파운드리 공정설계 직무에 대한 세부적인 업무 내용과 해당 부서의 조직 구성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제조 및 기술 사업부와 YE 팀이 분리되어 생긴 것으로 보아, YE 팀이 새로운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TCAD 소자 설계 경험과 공정 관련 인턴 경험 등을 활용하여 새로운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YE 팀에 지원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삼성전자 파운드리 공정설계 직무에서는 layout과 netlist 검토, LEF 파일 생성 등과 같이 회로 설계 및 분석에 관련된 업무도 수행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험들을 활용하여 PA 팀에 지원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습니다.

최종적으로는 삼성전자 파운드리 공정설계 직무의 세부적인 업무 내용을 자세히 알아보고, 해당 부서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게 될지를 고려하여 스펙에 맞는 사업부에 소신껏 지원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또한, 자신의 경험과 역량을 잘 어필할 수 있는 지원서와 면접 준비를 통해 좋은 인상을 남기는 것도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화이팅CL2
코차장 ∙ 채택률 95%

안녕하세요.

pa가 조금 더 경험과 매칭되긴 합니다.

마스크 layout 도면 설계, 설계 내용에 전기적 파라를 검토, OPC하는 업무 모두 공정설계 업무입니다.

YE는 공정 플로우 과정 중에서 트렌드를 보고 불량분석 요인을 검출 및 해결하며 수율을 높입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탁기사
코사장 ∙ 채택률 83% ∙
회사 직무 산업
일치

YE보다도 PA쪽에 타겟팅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레이아웃이나 여러 검증툴을 사용해본 경험은 YE에서 직접적인 양산보다는 PA에서 OPC를 하거나 타 설계 부서와 협업해서 검증하거나 할때 조금 더 나은 퍼포먼스를 가지고 올 것 같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