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삼성전자 / 생산기술

Q. 삼성전자 DS 설비기술 관련 질문 있습니다.

CTO_반도체연구소 (Semiconductor R&D Center)
제조&기술담당(FAB Engineering & Operations)
AVP 사업팀 (Advanced Package)

반도체 설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기반으로 첨단 반도체 설비를 유지보수 하고, 생산성을
최적화하는 직무
반도체 설비 성능향상, 개조, 개선 등의 Facility 지원을 통해 품질/수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직무
최고 품질의 Advanced Package 제품 생산을 위한 설비/제조 인프라 구축을 통해
자동화된 미래 반도체 제조 환경을 구현하는 직무

이렇게 모두 설비를 유지보수하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일하는 지역에 따라서 나뉘는건가요? 요구 역량도 전공도 비슷비슷하던데 정확히 무슨 차이가 있는지를 모르겠습니다..

답변 2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네, 일하는 지역에 따라서 책임과 역할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TO_반도체연구소에서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설비의 성능을 개선하고 개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제조&기술담당(FAB Engineering & Operations)에서는 반도체 제조를 위해 필요한 설비를 관리하고 유지보수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습니다. AVP 사업팀에서는 최고 품질의 Advanced Package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설비와 제조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요구 역량은 모두 반도체 설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력이 요구되며, 전공도 반도체 제조, 공정, 기계, 전기, 전자 등과 관련된 분야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 직무마다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역량의 세부적인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각 직무에서는 다양한 기술과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차이를 알기 위해서는 해당 직무에서 어떤 일을 하게 되는지, 어떤 기술과 지식이 요구되는지를 자세히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탁기사
코사장 ∙ 채택률 83% ∙
회사 산업
일치

사업부가 다르고 반연은 개발설비를 맡을 확률이 있고 제조기술은 일반 메모리파운드리 설비이고 avp는 후공정패키징관련 설비입니다.
다만 설비직군은 메이커사설비, 생산하게될제품만 다르지 하는일은 교대근무하며 설비유지보수로 같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제조기술쪽 쓰는걸 추천드립니다. 티오가젤큽니다.



댓글 0
내일이오먼
2024.03.12
그러면 제조기술,AVP는 설비유지보수하는 것으로 하는 일은 같은데 티오 하나 때문에 그런것인가요? 메모리파운드리 관련해서는 많이 들어봤는데 후공정패키징은 확실히 많이 못 들어봐서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