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삼전 신소재 직무 고민
안녕하세요 삼전 공채 준비 중 선배님들의 조언을 구하고 싶어 글을 올립니다. 한 마디라도 좋으니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서성한 학부, 신소재공학부
학점 3.75/4.5
오픽 IM2, 자격증 없음
유관경험 : 대기업 인턴십 6개월, 소자 관련 연구 프로젝트 1년(해외 학회 포스터 발표), 학부연구 등등
1. TSP와 AVP는 후공정 패키징 관련 부서인데, 패키징 경험이 없으면 지원하지 않는 게 좋겠죠? AVP 평가 및 분석 직무가 맞는 부분이 많으나 패키징과 품질 부분을 거의 몰라 걸림돌로 느껴집니다.
2. 기존 인턴십에서 Photo 관련 설비를 다루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설비 직무의 경우 업무 난이도가 매우 높다는 이야기를 들어 공정 설계와 공정 기술 직무를 고민 중입니다. 교대 근무나 근무 난이도 등 아는 바가 없어 현직자님의 솔직한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3. LSI 사업부 같은 경우 회로 배경지식이 없으면 지원을 피하는 게 좋겠죠?
4. 자격증이 없는 게.. 걸리네요ㅠ
5. 여러 직무 중에서 고민 중인 신소재 직무는 어떤 점이 좋아서 선택하셨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현직자로서 어떤 점이 장단점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TSP와 AVP는 후공정 패키징 관련 부서로, 패키징 경험이 없으면 지원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패키징과 품질 부분을 몰라도 많은 것을 배우고 성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원하는 부서와 관련된 기술과 지식을 미리 공부하고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2. Photo 관련 설비를 다룬 경험이 있으시다면 공정 설계와 공정 기술 직무도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업무 난이도가 높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면 근무 환경과 근무 난이도를 미리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LSI 사업부의 경우 회로 배경지식이 없어도 지원 가능합니다. 하지만 회로 배경지식이 있다면 더 유리하게 지원할 수 있습니다. 회로 배경지식이 없더라도 관련된 기술과 지식을 미리 공부하고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자격증이 없는 것이 걸리신다면, 해당 직무와 관련된 자격증을 취득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자격증이 없어도 업무 능력을 증명할 수 있는 프로젝트나 경험을 강조하여 이를 보완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5. 신소재 직무는 새로운 기술과 소재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분야로서, 끊임없이 새로운 도전과 발전이 가능하다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또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연구 개발 단계에서의 실패에 대한 부담과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는 점이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2024.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