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산업 · 삼성전자 / 시스템설계

Q. 삼성전자 제조기술담당 신호및 시스템 설계

안녕하세요. 삼성전자 제조 기술 담당 신호 및 시스템 설계 직무와 관련해서 질문이 있어 질문 남기게 되었습니다.

24년 상반기에 비해서 24년 하반기 JD에 반도체 제조 자동화 관련 기술 개발(Cobot/Robot, AGV&AMR, Digital Twin) 부서가 추가되었던데, 이 부서에 대해서 하는 일이나 근무지, 워라밸 등 조직에 대해 전반적인 관심과 호기심이 생겨서 문의드립니다.

이와 별개로, 제조기술담당의 조직이 메모리와 파운드리로 나뉜다고 알고 있는데, 각각의 근무지나 분위기 차이 역시 궁금합니다.

답변 6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삼성전자 제조 기술 담당 신호 및 시스템 설계 직무와 관련하여 문의하신 내용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24년 하반기에 추가된 반도체 제조 자동화 관련 기술 개발 부서는 Cobot/Robot, AGV&AMR, Digital Twin 등의 기술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부서는 자동화와 디지털 혁신을 통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제조 과정의 최적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근무지는 주로 반도체 제조 시설 내에서 이루어지며, 팀의 성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워라밸은 조직의 문화와 개인의 역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삼성전자는 직원의 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시하는 편입니다.

제조기술담당의 조직이 메모리와 파운드리로 나뉘는 점에 대해서도 말씀드리겠습니다. 메모리 부서는 주로 DRAM 및 NAND 플래시 메모리와 관련된 기술 개발 및 생산 공정을 담당하며, 파운드리 부서는 고객 맞춤형 반도체 생산을 위한 기술과 공정을 관리합니다. 두 부서의 근무지는 모두 반도체 제조 시설에 위치하지만, 각 부서의 분위기는 다를 수 있습니다. 메모리 부서는 대규모 생산과 관련된 업무가 많아 빠른 속도의 작업 환경이 특징인 반면, 파운드리 부서는 고객 요구에 맞춘 맞춤형 생산이 많아 상대적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다루는 경향이 있습니다.

추가적인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삼성전자 멘토
코상무 ∙ 채택률 82% ∙
회사 산업
일치

메모리와 파운드리의 근무지는 부서마다 다소 다를 수 있으나,
파운드리는 수년째 성과를 못 내고 있어 다소 침체된 분위기이나 메모리는 작년 특보 등 그래도 분위기가 나은 편입니다. 다만, 두 부서 모두 최근 삼성전자의 분위기처럼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습니다.


안경공대남
코전무 ∙ 채택률 65%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분위기는 같은 사업부, 같은 직무여도 위의 부서장의 분위기에따라 천차만별입니다. (인복도 운이라고 생각)

회사에 돌+아이는 어디에나 존재하지만, 좋은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너무 걱정하지마시기 바랍니다.

워라밸에 대해서도 부바부긴 한데, 개발부서는 다른 제조보단 워라밸을 추구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M
Memory Department
코상무 ∙ 채택률 82%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지원자님~! 삼성전자 제조기술담당 신호 및 시스템 설계 직무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너무 반가워요~ 궁금해하신 내용을 최대한 알기 쉽게 설명드려 볼게요!

먼저, 말씀하신 반도체 제조 자동화 관련 부서(Cobot/Robot, AGV&AMR, Digital Twin)는 스마트 팩토리 구현과 밀접하게 연결된 조직이에요. 이 부서에서는 반도체 생산 라인에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하고 최적화하는 기술 개발을 주도합니다. 예를 들면, Cobot과 Robot을 활용해 웨이퍼 운반을 자동화하고, AGV(Automated Guided Vehicle) 및 AMR(Autonomous Mobile Robot)을 통해 물류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합니다. 또한, Digital Twin 기술을 활용해 가상 환경에서 생산 공정을 시뮬레이션하며 실시간 공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과 최적화를 수행하죠~! 이런 기술은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고 불량을 줄이기 위한 핵심입니다.

이 부서의 근무지는 삼성전자 DS 부문의 주요 생산기지인 화성, 평택, 기흥 등으로 예상되며,워라밸은 팀과 프로젝트에 따라 다르지만, 제조업 자동화 관련 직무는 일반적으로 공정 개발 및 설비와 협업이 많아 유연성과 도전정신이 요구되면서도 안정적인 업무환경을 지원합니다.

또한, 제조기술담당 조직은 메모리와 파운드리로 나뉘는데요~! 메모리 쪽은 주로 DRAM과 NAND 생산라인에 초점을 맞추며, 근무지는 평택, 화성 등이 중심이에요. 반면, 파운드리 분야는 시스템 반도체 생산 공정과 관련된 설계 및 기술 개발을 다루며, 기흥, 화성이 주요 근무지랍니다. 분위기 차이를 굳이 말하자면, 메모리는 대규모 생산 중심으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느낌이 강한 반면, 파운드리는 다양한 고객사 요구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하는 프로젝트 중심 분위기를 띠는 편이에요.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려요~ 응원합니다~!


채택
d
do__young
코상무 ∙ 채택률 59% ∙
회사 산업
일치

제기담은 아마 팀에 따라 메모리/파운드리로 나눠지며 근무지는 대부분 화성/기흥 입니다. 분위기는 아무래도 파운드리가 상황이 힘들어 메모리가 더 좋은 편입니다.
반도체 제조자동화 관련 기술 개발은 다른 부서에 비해 워라밸은 좋은 것 같습니다.


채택
D
DS블루
코대리 ∙ 채택률 64%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제조기술담당 조직은 원래 메모리, 파운드리 업무를 하는 부서가 나뉘어있습니다. 각각의 근무지는 기흥,화성, 평택으로 다양하고 분위기는 부서마다 상이한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또한 제조 자동화 관련 기술 개발의 경우 신설 기술팀인것으로 보여지는데 화성근무이고 워라밸도 괜찮은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부탁드려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