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무선사업부 연구개발을 낼려고 하는데 HW 부분에서 어떠한 업무를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3
살
살라딘
삼성전자
코전무
∙ 채택률 66%
∙
회사
산업
학교
일치
음.. 조금은 광범위하게 물으셨는데 선행연구팀이 있고 상품개발팀이 있습니다. 보통 선행연구는 석사급이상으로 뽑는다고 들었구요. 상품개발은 실제 현재 팔리는 상품의 회로도를 구성하고 성능잡고 공정에 불량율이 낮아질 수 있게 개발한다고 보시면 합니다.
휴면계정
안녕하세요. 질문자분의 질문은 굉장히 포괄적인 질문이네요. 사실 저도 학생때는 잘알지 못했던 부분인데요. 삼성전자는 제조업이죠. 제조업에서는 물건을 만들기위한 연구. 기획. 개발. 검증. 제조. 유통. 판매 의 순서로 크게 이루어집니다. 연구개발이라고 하지만 실제로 연구소가 아닌 사업부에서는 개발이라고 하는게 맞는거같네요. 삼성전자가 혼자 만드는 물건은 없습니다 실제로 모든회사가 혼자 만드는 제품은 거의 드뭅니다.
하도급업체와 협력사들과 함께 만들어나가는 일이지요. 전자과 출신이시니 전자과가 갈 확률이 높은 부서로 말씀드리는데 좋겠네요.
상품기획개발은 신입이 갈확률이 적어요. 이건 뛰어넘도록 하죠. 전자과라면 회로설계.예를들어 pcb나 안테나 같은 설계가 있겠죠. 이는 협력사와 같이 할수도있구요 자체적으로 개발하기도 하구요. 보통은 협력사의 물건을 제품에 최적화하는 일을 합니다. 외에도 rf. 디스플레이. 기구 등의 개발을 맡게 될껍니다. 검증을 하는 업무를 맡을 수도 있구요. 검증은 물건이 잘만들어졌나 테스트를 하고 생산전에 검토를 해주는 부서에요. 궁금한부분이 있다면 좀더 자세히 말해주세요. 그래야지 좀더 좋은 대답이 나올수 있을꺼같아요. 그럼 취뽀 하세요
a
asdffd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코이사
∙ 채택률 80%
안녕하세요. 지원하시고자 하는 업무와 부서에서 근무하다가 이직한 경험으로 답변드립니다.
무선 H/W 개발의 경우 주로 회로 개발을 맡게되며 크게 로직(디지털), RF 중 하나를 선택해서 개발을 맞게 됩니다. 로직은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입니다. 카메라, 센서, 전원, 스피커, 충방전 등을 구현하는 개발업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RF는 무선통신쪽입니다. 보드자체의 통신성능을 개발하는 컨덕션, 안테나를 담당하는 방사, 그리고 WIFI, GPS, BT, NFC를 담당하는 커넥터비티 개발업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주로 업무의 흐름은 부품을 세트에 올렸을 때 한번에 성능이 나오면 좋겠지만 여러가지 요인으로 처음에는 형편없는 성능이 나오거든요. 이를 개선시키는 업무를 담당하게 됩니다. 부품자체의 튜닝은 부품업체에 맡기면서 세트와의 호환성을 끌어올리도록 여러가지 수정을 해보는 거죠. 이게 여러가지 수정이라고 했지만 몇십 몇백개의 시방을 통해서 최적화된 값을 찾아내야 하는거라 쉽지가 않습니다. 개발 자체로는 저런 업무를 수행하고 시료의 관리나 대응, 규격인증 등의 공통적인 업무도 H/W가 메인이기 때문에 담당합니다. 공통업무는 주로 신입들이 많이 하죠.
2018.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