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직무는 확실히 정했는데 교육 방향성과 관련해서 고민이 있습니다.
반도체 회로설계 직무로 방향을 확실히 정한 학사졸 취업준비생입니다.
세부적으로는 회로 검증 엔지니어의 진로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직무역량을 더욱 어필하고자 회로설계 관련 교육을 최대한 찾고 있습니다.
이미 IDEC에 시스템반도체교육을 신청하긴 했지만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학사(졸) 수준에서는 코멘토나 렛*인 등에 공정실습 교육이 많은데
실무자분들 입장에서 봤을때 공정실습 교육이랑 연결지을 수 있을까요?
같은 산업이긴 하지만 반도체를 보는 관점이 달라 크게 연관짓진 못할거 같은데
현직자분들의 생각이 궁금해 질문드립니다.
우선 회로설계 엔지니어링은 반도체 공정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지만, 공정실습 교육은 주로 공정과정의 실습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연관성은 적습니다. 하지만 공정실습 교육에서는 반도체 공정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회로설계 엔지니어링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회로설계 엔지니어링에는 회로 설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기술적인 부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코멘토나 렛*인 등의 공정실습 교육을 통해 기술적인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회로설계 엔지니어링은 반도체 공정과는 다르게 회로를 설계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공정실습 교육을 통해 얻은 문제해결 능력이나 실험적 접근 방식 등을 회로설계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회로설계 엔지니어링에는 공정과정에 대한 깊은 이해보다는 회로설계 능력이 더 중요합니다. 따라서 공정실습 교육은 회로설계 엔지니어링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기술적인 부분과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실무에서는 회로설계 엔지니어링 능력보다는 문제해결 능력과 실전적인 경험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공정실습 교육을 통해 얻은 경험들은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회로설계 엔지니어링 분야는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과 도구에 대한 이해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코멘토나 렛*인 등의 공정실습 교육을 통해 새로운 기술과 도구를 습득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면, 이는 회로설계 엔지니어링에서도 큰 장점이 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회로설계 엔지니어링과 공정실습 교육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기술적인 부분과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공정실습 교육을 받으면서도 회로설계 엔지니어링에 대한 공부와 경험을 지속적으로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4.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