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삼성전자 / 제조가공

Q. 선단공정과 공정기술 관계

안녕하세요 자소서 작성중에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선단 공정 (ex)3nm)공정 등을 반도체 연구소에서 개발을 완료하고, 이 선단공정을 필요로 하는 업체가 있으면 양산 단계로 가지고 오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때 양산 단계의 공정기술 직무(파공기, 메공기)에서 이의 양산성을 다시 한번 개선하는 직무를 진행하나요 아니면 연구소의 공정 기술 직무에서 이미 공정 조건 최적화, 표준화 등을 끝내고 오는 걸까요?
감사합니다

답변 6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

안녕하세요.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반적으로 선단 공정 개발 후 양산 단계로 가기 위해서는 양산성을 높이기 위한 공정 최적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연구소에서 개발한 공정 기술이 양산 단계에서도 유지되는지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추가적인 개선 작업을 진행합니다. 따라서 공정 기술 직무에서는 연구소에서 개발한 공정 기술을 기반으로 양산성을 개선하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하지만 연구소의 공정 기술 직무에서 이미 최적화와 표준화를 끝내고 오는 경우는 드뭅니다.

따라서 양산 단계에서 공정 기술 직무를 담당하는 경우에는 연구소에서 개발한 공정 기술을 바탕으로 양산성을 개선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연구소에서 직접 공정 기술 개발을 담당하는 경우에는 최적화와 표준화 작업을 끝내고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양산 단계에서는 추가적인 개선 작업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즉, 공정 기술 직무에서는 연구소에서 개발한 공정 기술을 기반으로 양산성을 개선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연구소에서 직접 공정 기술 개발을 담당하는 경우에는 최적화와 표준화 작업을 끝내고 오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탁기사
코사장 ∙ 채택률 83% ∙
회사 산업
일치

사업부 공정설계직무에서 연구소에서의 개발 scheme을 받아 수율을 끌어올리규 어느정도 양산에 도입할 수 있겠다 하면 공정기술에 전반적인걸 이관합니다. 그리고 공정기술에서 튜닝처럼 레시피튜닝이나 양산에 더욱 최적화시키게됩니다.


채택
황금파이프
코부사장 ∙ 채택률 80%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연구소에서 공정 조건을 잡고 양산에 이관되는 경우 공정기술 직무에서 다시 양산에 맞도록 공정개선 및 표준화를 진행하게 됩니다.


채택
l
lIIIIl
코사장 ∙ 채택률 79% ∙
회사 산업
일치

연구소에서 사업부로 공정이 이관 되더라도 개발과 양산성 검증은 계속 진행됩니다


채택
화이팅CL2
코차장 ∙ 채택률 95%

안녕하세요.

연구>개발>양산 순서입니다.
모든 걸 연구소에서 끝내진 않고, 최소한의 수율을 끌어올리면 다른 사업부에서 그 내용을 토대로 또 한번의 수율을 높입니다. 이 단계까지가 개발이고, 대량으로 찍어낼 수 있도록 한 번 더 수율을 높이는게 양산단계입니다.

그리고 같은 레시피라고 하더라도 공장, 장비가 다르면 또 조건이 달라지기 때문에 양산단계에서도 여러 레시피들을 교정합니다.


채택
졸린왈루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멘티님

선단공정 개발이 완료되면 양산 공정에 투입하기 위해 최적화하는 업무를 공정기술 엔지니어가 수행합니다.

멘티님의 취업에 좋은 결과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