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삼성전자 / 제조가공

Q. 웨이퍼 제조공정과 반도체 8대 공정과 관련이 있나요?

이번에 SK실트론(웨이퍼제조회사)을 지원하는데

반도체 8대 공정과 웨이퍼 제조공정이 관련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반도체 공정실습 받은 경험을 SK실트론을 담아도 되는지 모르겠어요.

물론 8대 공정 중 첫번째가 웨이퍼 제조공정인데 반도체 공정실습에선 웨이퍼 제조공정에 대해선

안배웠거든요. 웨이퍼 제조공정에 쵸크랄스키 이후 폴리싱 에칭 클리닝 과정은 있던데 이것들이

웨이퍼 제조공정을 제외한 전공정과 관련이 있는지 궁금해요 있다면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답변 3
메칸더V

엄밀히 따지면 웨이퍼 제조공정은 반도체 프로세스와는 아주 별개입니다.
보통 원자재로 분류되기 때문에 삼성전자에서 웨이퍼를 만들지 않고 외주사를 이용하게 됩니다.
실트론도 그 외주사 중의 하나입니다.
따라서 해당 경험을 언급하는 것이 웨이퍼 제조와 직접적이 관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면접때 외려 공격을 받을 공산이 커보입니다.


l
lIIIIl
코사장 ∙ 채택률 79% ∙
회사 산업
일치

교육받은 내용을 써도 문제는 없을것 같습니다
CMP와 클린정도만 비슷하고 나머지는 연관성이 없죠
실트론도 SOI 웨이퍼를 만드는지 모르겟는데, 잇다면 산화공정도 중요합니다
웨이퍼 기판 자체의 디펙 정도에 따라서 전공정의 불량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클린공정이 아주 중요합니다


채택
박수박
코대리 ∙ 채택률 80%

구글 등에 웨이퍼 테스트를 검색하면 웨이퍼의 성능을 결정하는 요소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나옵니다. 대표적으로 전기 테스트, 온도 테스트가 있습니다. 이러한 테스트를 왜 하는지 8대 공정과 연관지어 서술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나는 8대 공정 교육을 받았다 -> 이 교육을 통해 웨이퍼 제조 시 ~한 것이 중요하다는 걸 알 수 있다 -> 이 지식을 토대로 더욱 정진하여 회사에 기여하겠다
의 느낌으로 기재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