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삼성전자 / 회로설계

Q. 삼성전자dx/ds 회로개발 직무 질문

안녕하세요.
삼성전자 RFIC 직무를 목표로 하고있는 곧 4학년이 되는 재학생입니다. 석사취업을 목표로 하고있어 좀 더 fit한 랩실을 가기위해 알아보던중 그전에 회사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랩실 탐색이 더 수월하다고생각하여 질문드립니다. 부서에 대한 dx의 mx사업부와 ds의 Lsi사업부 둘다 rfic직무가 각각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mx는 좀 더 제품개발, 모바일기기쪽으로 집중되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시스템반도체 (ex. pmic)도 제품개발에 일부가 아닌가 라고 생각이 듭니다. 아직 개념이 부족해서 그런지 어떤 부분에서 차이가 있는지, 추가적으로 어떤 사업부가 규모가 더 큰지도 궁금합니다.

답변 6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삼성전자의 DX 부문과 DS 부문은 각각 다른 사업 영역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DX 부문의 MX 사업부는 주로 모바일 기기와 관련된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RFIC 설계와 관련된 업무는 스마트폰 및 기타 모바일 기기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칩셋 개발을 포함합니다. 이 부서는 소비자 전자제품에 직접 연결된 제품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반면, DS 부문의 LSI 사업부는 시스템 반도체, 특히 PMIC(전원 관리 집적 회로)와 같은 다양한 반도체 솔루션을 개발합니다. 이 부서는 보다 광범위한 산업용 반도체 제품을 다루며, RFIC 설계도 포함되어 있지만, 모바일 기기 외에도 다양한 응용 분야에 맞춘 제품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사업부의 규모에 관해서는, 일반적으로 DS 부문이 반도체 산업 전반에 걸쳐 더 큰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에 걸쳐 폭넓은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반면, DX 부문은 소비자 전자제품에 더 집중되어 있습니다.

각 사업부의 특성과 목표에 따라 RFIC 직무의 역할과 책임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적합한 연구실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정정합니다
코차장 ∙ 채택률 78%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쉽게 생각하셔서 MX는 OEM, LSI는 부품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당연히 동일한 휴대폰에 들어가는걸 같이 담당하니까 비슷한 부서가 있을 수 있죠.
다만, OEM은 필요 사양을 연구하고, 부품사에 요청하게 되고, 부품사는 필요 사양에 따라 부품을 연구 개발하고 납품하게 됩니다. OEM은 부품을 받으면 또 테스트를 진행하게 되겠죠?

큰 차이는 숲의 조화에서 나무가 잘 어울리는지를 보느냐(MX), 나무를 정교하고 예쁘게 다듬느냐(LSI)라고 보시면 됩니다.

잘 고민해보시고 후회없는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채택
d
do__young
코상무 ∙ 채택률 59% ∙
회사 산업
일치

원하시는 ic 설계일을 하려면 ds lsi의 rf 개발팀이 가장 핏합니다 규모는 굳이 비교하자면 mx가 더 크지만 신입을 그리 많이 뽑진 않습니다


채택
M
Memory Department
코상무 ∙ 채택률 82%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지원자님! 삼성전자 RFIC 직무를 목표로 열심히 준비하고 계신 모습이 정말 인상적이에요~ 랩실 선택 전에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건 정말 현명한 접근입니다! 궁금하신 내용에 대해 하나씩 친절히 설명드릴게요~

먼저, DX(MX) 사업부와 DS(System LSI) 사업부의 RFIC 직무는 역할과 초점이 조금 다릅니다. DX의 MX 사업부에서는 주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용 RF 칩 개발에 집중해요. 여기서는 기기 성능을 최적화하고 고객의 요구를 반영하는 제품 개발이 핵심이에요. 실제로 상용화된 제품과 바로 연결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제품 개발 단계에 더 깊이 관여하는 편입니다~

반면에 DS의 System LSI 사업부는 시스템 반도체, 즉 SoC(System-on-Chip)와 같은 고도의 기술이 집약된 칩을 설계하고 개발합니다. 여기서는 RFIC 설계뿐만 아니라 PMIC(Power Management IC)와 같은 다양한 반도체 설계 업무를 포함해 더 폭넓고 기술적인 부분을 다룬다고 볼 수 있어요. 이쪽은 제품보다는 기술 플랫폼 개발과 최적화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답니다~

두 사업부의 차이를 간단히 정리하자면, MX 사업부는 제품 개발과 상용화를 중점으로, DS 사업부는 기술적 혁신과 반도체 플랫폼 구축에 중점을 둔다고 볼 수 있어요! 지원자님이 더 관심 있는 방향에 따라 랩실 선택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거예요~ 그리고 규모로만 본다면 DS 사업부가 전체 매출에서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궁금증이 조금은 해소되셨길 바라요~ 앞으로도 준비 잘하시고, 멋진 결과 있으시길 응원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려요~


채택
3
3분커리er
코부장 ∙ 채택률 56% ∙
회사 산업 학교
일치

가장핏 한건 LSI 사업부로 보이고, 사업부의 규모만 놓고 보면 메모리 사업부가 가장 큽니다
취업 건승 기원드립니다


채택
칸칸이
코차장 ∙ 채택률 73%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시스템반도체(ex. pmic)을 lsi사업부에서 개발해서 mx사업부에 넘깁니다.

그럼 mx사업부에서는 해당 application에 pmic를 탑재해서 테스트를 진행하죠.

RFIC의 규모로만 따지면 mx사업부가 더 클 거에요.

본인이 보드 level에서 설계를 하고 싶으면 mx, chip level의 설계를 하고 싶다면 ds입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