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 · 삼성SDI / 생산기술

Q. kg ict 이차전지 실무교육 vs 학부연구생

안녕하세요. 저는 화학공학과 이고 현재 3학년 2학기이고 이제 곧 4학년이 되는데요. 학년이 올라갈수록 준비를 취업걱정이 커져서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저는 이차전지 양산기술 또는 공정기술 직무로 취업하고 싶은데 요번에 kg ict 이차전지 실무교육과 학부연구생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하는 상황이 왔습니다. 배터리 취업에 어떤 것이 더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답변 7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이차전지 양산기술 또는 공정기술 직무로의 취업을 목표로 할 때, KG ICT 이차전지 실무교육과 학부연구생 경험 각각의 장단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KG ICT 이차전지 실무교육은 실무 중심의 교육으로,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직접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과정은 실제 기업과의 연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아, 네트워킹 기회와 함께 취업에 유리한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반면, 학부연구생 경험은 연구 능력을 키우고, 이론적 지식을 심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함으로써 문제 해결 능력과 팀워크를 배양할 수 있으며, 이는 학문적 배경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실무교육은 직접적인 취업 준비에 더 유리할 수 있으며, 연구 경험은 이론적 기반을 다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개인의 경력 목표와 상황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두 가지 옵션을 신중히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쫑롱롱
코차장 ∙ 채택률 84%

안녕하세요,
취업 준비로 고생 많으십니다.

이차전지 산업을 희망하시면 관련 실무교육 받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정량적인 지표가 되진 않겠지만 관련 전문성을 보여주는데 참조가될수있고 교육안에서 실시한 프로젝트 ,과제등 수행하면서 한단계 더 성장할수있습니다. 교육안에서 멘티님의 강점을 활용하여 결과를 낸게 있다면 자소서 / 면접에 더 잘 활용될 수 있을것 같습니다.

화이팅입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도 부탁드려요 ^^


채택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학부연구생 보다 외부 교육이 가치가 높다고 보실수 있습니다. 학부 연구생은 나중에라도 다시 시도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채택
랄랄라아이티
코상무 ∙ 채택률 100%

학연생, 실무교육 둘 다 좋은데, 개인적으로는 그래도 실무쪽에 좀 더 가까운 교육이 낫지 않을까 싶네요. 연구개발로 나아가실거면 학연생이 좋은데 바로 학사로 취업하실거면 실무교육 추천드립니다.


채택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저는 학부연구생을 추천을 드립니다. 단 단순히 학부연구생 생활을 하는 것이 아니라 최종적으로는 어떤 결과물이나 성과가 있다면 학부연구생을 추천을 드립니다. 이렇게 해야지 멘티분의 역량을 객관적으로 증빙이 가능하고 자소서의 소재거리가 확보된다 생각합니다.


채택
스디툭
코차장 ∙ 채택률 75% ∙
회사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학부연구생으로 가시려는 교수님(랩실)이 이차전지 관련이면 학부연구생 추천드립니다!!

이차전지 실무교육을 들으셔도 현업에 와보면 차이가 있어요! 차라리 이차전지 관련 연구 경험이 추후 커리어에 많이 도움이 되리라 판단됩니다!

그리고 틈틈이 배터리 관련 공부도 하시는걸 추천드려요! 배터리 3사 블로그나 관련 뉴스를 스크랩하시면 깊이 있게 공부하실수 있을거에요!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좋아요와 채택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채택
펭귄이조아
코차장 ∙ 채택률 79% ∙
회사
일치

일단 개인적으로는 이차전지 실무교육이 정확히 어떻게 이뤄지는지를 확인해보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단순히 실무자가 와서 강의형식으로 진행되는 방법이라면, 개인적으론 학부연구생을 추천드립니다. 그러나 만약 직접 회사에 가서 간단한 업무를 진행해보며, 직접 공정에 가서 견학도 하고, 관련 실무자들과 짧지만, 인턴 형식으로 업무를 종사해보는 것이라면, 이차전지 실무교육을 추천드립니다.

어쨋든, 단순한 교육가지고는 현재 취업시장에서는 큰 메리트가 된다고 생각되진 않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관련 업무를 하면서 경험하고 그것을 통해 무엇을 배웠으며, 이를 발전시켜서 관련회사 무슨 아이템에 어떤 공정에서 어느 직무를 담당하고 싶은지가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