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산업 · 삼성SDI LG화학 SK이노베이션 / 연구개발

Q. 블록체인과 ESS 산업에서 재료전공이 나아가야할 방향

안녕하세요 멘토님들
흔하디 흔한 석사 취업준비생입니다.

전공이 배터리 쪽이지만 여전히 산업과는 거리감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데요..

블록체인기술이나 4차산업혁명, ESS와 2차전지(재료)관련
연구개발분야에서의 연결고리를 찾기 힘들어 현직자 선배님들의
의견을 듣고 싶어 글을 남깁니다.

스마트팩토리의 경우 공정쪽, ESS 는 IT 나 회로쪽 역량이 강화되고 있는데 물질을 합성하고 개발하는 쪽에선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부담없이 말씀해주시면 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답변 3
채택
멘토30868
코이사 ∙ 채택률 74% ∙
직무
일치

배터리 연구소에 소재 개발쪽이나 전지 재료 사업부에 재료 개발 부문으로 지원하시면 괜찮을 것 같네요.


채택
휴면계정

석사시면 전공을 살리셔야 인정을 받으실텐데 취직이 잘 안되셔서 말씀하시는건가요 아니면 재료전공에서 비전을 못찾아서 하시는 말씀이신가요?

스마트팩토리나 인더스트리 4.0은 iot나 머신러닝을 발전시켜 사람의 손을 덜어주는 것이고 스마트 그리드는 전기설비와 it기술이 융합된 것이지요. 재료 자체가 it기술하고는 연결이 어려운건 당연한 말씀이구요

재료개발을 해서 어떻게 컨트롤하고 사용할지, 어떻게 자동화 공정을 만들지 사람이 하는일을 기계가 하면 어떻게 될지를 연구하는 공정기술쪽애도 재료 전공자가 없으면 변수 나 호환성 분석이 안되기 때문에, 재료전공자 뽑는곳에 지원하신 후 추후 관련 공정기술분야에 배치해달라고 하시는게 현실적인 대안으로 보입니다.


채택
멘토51909
코과장 ∙ 채택률 85%

안녕하세요, sk이노베이션 재직자입니다. 다른분야는 잘 모르지만 2차전지 쪽에는 재료의 수요가 많습니다.

배터리내에 분리막, 바인더, 음극재, 양극재 등 재료가 사용되는 부분은 무궁무진합니다. 또한 전고체배터리등은 재료가 중요하지요.

엘지화학 소재개발, 선행공정, 전지재료, 분리막연구소, 바인더연구소 등이나 저희회사 선행공정, 셀개발팀 등에 지원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