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셀트리온 / 연구개발

Q. 제약 임상개발 직무와 임상 영양 학문을 연결하는 표현법이 막막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임상영양 연구실에서 건강기능식품 임상연구를 진행해왔습니다. 면역력 증진을 위한 건강기능 식품을 연구하면서, 제약 산업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제약회사 연구개발 팀에 들어가 임상연구를 진행을 하고싶습니다. 건강기능 식품 연구와 바이오 의약품 산업을 연결시킬 매게 고리는 임상연구 진행 경험이 전부인 제가 어떻게 더 어필을 할 수있을지 고민됩니다.

답변 4
멘토56253
코사원 ∙ 채택률 50% ∙
학교
일치

회사는 신입사원에게 대단한 전문성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실무를 가르쳤을 때 성실하게 배우고 회사 조직 문화에서 잘 어우러질 수 있는 인재를 원합니다. 비젼이 뚜렷해 해당 분야 업무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려고 하는 인재를 원합니다. 우선 입사하려는 회사가 어떤 사업을 진행하고 있고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세요. 그만큼 회사와 관련 분야에 관심이 있다는 사실을 어필하는 게 좋겠습니다.


멘토56434
코사원 ∙ 채택률 34%

국내외 제약회사 4곳 임상팀 근무자로서 말씀드립니다. KGCP, GCP 통달하고 CRA 교육들어놓고 오피스 한글 자격증 따두면 실무할때 바로 갖다쓸수 있어서 좋아합니다. 전공이나 학력은 이미 약사에게 접고가기때문에 굳이 어거지로 연결시키기보다 확실한 실무강점을 내세우세요.


채택
멘토56417
코주임 ∙ 채택률 67% ∙
학교
일치

최근 많은 국내 제약사가 계열사 확장 등을 통해 건강기능식품 등에 투자 혹은 진출하고 있습니다. 그와 관련한 회사에 임상부문 연구원에 지원하시면 강점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바이오의약품과 연결시킬 필요도 없을 것 같습니다.
관련분야 특정회사를 선별하시어 공략하시는게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채택
그린세포
코차장 ∙ 채택률 93% ∙
회사 산업
일치

셀트리온 임상 직무 근무자입니다. 물론 식품 임상과 제약 임상은 큰 갭이 있죠. 하지만 기본적으로 실함이란 공통점이 있습니다. 여기서 포인트 찾으면 좋을 것 같고 두 임상의 차이점, 그리고 제약 임상의 특징들 알고 가시면 좋겠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