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 · 없음 / 생산기술

Q. 저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과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27살 여성 구직자입니다.
간단한 제 소개를 하자면 전문대에서 지거국으로 편입하였고 전공은 기계설계공학과입니다.
플랜트 생산기술부서에서 2년 3개월 근무하고
퇴사하여 다시 취업을 하고자 합니다.
저는 대기업보단 중견기업과 우수 중소기업 외국계기업쪽으로 취업을 하고자 합니다.
질문들입니다.
1. 중소기업에서 여러가지 부서일은 하였으나, 전문적이지 못하여 어느쪽을 써야하는 지
모르겠습니다. (근본적인 퇴사이유)

자재 구매 - 해외구매품, 안구해본 자재는 없으나 ERP 전산 프로그램 등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생산 관리 - 선공정에서 후공정까지 담당하였습니다.(자재 절단 부터 출하까지)
생산기술 - 생산에 필요한 모든 서류 등을 작성하였으나 생산 LINE 설계 경험이 없습니다,
프로젝트 관리 - 고객사와 도면 문제 협의 등 생산에서 발생된 모든 문제 해결 및 대응

2. 신입 VS 경력직, 어느 직무가 적합한지 판단 부탁드립니다.

답변 4
질문자

모두들감사합니다좋은결과로저도멘토로활동하겠습니다


알토
코차장 ∙ 채택률 65% ∙
학교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반갑습니다 같은학교 같은과후배님이시네요 ㅎㅎ
일단 여러가지 업무를 경험해 보셨는데 그중에서 멘티님이 가장 잘하셨던 직무를 쓰시는게 좋을 것입니다
경력적인 면에서는 멘티님 의 경력 2년이조금 넘는 경력이 있지만 한가지 업무에 정통하진 않기때문에 신입으로 지원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면접시에 신입으로 지원할 경우 전직장에선 이러이러한 업무를 해보앗다라고 어필 할수 있는반면
경력으로 지원하면 특정업무에대해 깊게 질문이 들어오기때문에 마이너스요인이 될수 있습니다
힘내시고 건승하세요!!


취업신신
코사장 ∙ 채택률 83% ∙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1. 우선 보통 대기업에서는 3년이상은 되야 경력으로 인정해줍니다. 그러나 중소/중견에서는 충분히 2년 이라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멘티님은 비록 한 분야에 대해 전문적이지는 못했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다양한 직무를 경험했기때문에 그나마 제일 적성에 맞는 직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중소/중견은 오히려 특정직무보다는 여러직무를 할 수 있는 인재를 뽑습니다. 그러니 오히려 장점이 될 수가 있죠. 잘 고민하시어 앞으로 쭉 경력을 만들 직무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2. 중견/중소를 가시려면 경력이 있으시니 경력으로 가십시요. 대기업은 어차피 경력이 모자라 신입으로 가셔야 됩니다.
멘티님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채택
사막늑대에
코과장 ∙ 채택률 78%

안녕하세요, 멘티님,

1)전문적이지 못한다고 해서 이점이 없는건 아닙니다. 공장 전체의 흐름을 안다는 측면에서 메리트가 있습니다. 그중 중점적으로 하셨던일에 대해서, 아니면 가장 흥미로웠던, 잘할수있는 일에대해서 쓰는 것이 맞습니다

2)1년이상의 경력을 구하는 곳에서는 경력직을 쓰시고 3년이상 경력 or 신입을 뽑는 곳이면 신입으로 지원하시면 됩니다. 아예 처음부터 신입으로 가능 방법은 경력을 아얘 안뽑는 곳이지만 가고싶은 곳이거나 하신일이랑 비슷한 분야라면 신입으로 지원하셔도 충분히 경쟁력있습니다.

좋은 결과있으시길 바랄게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