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디맨드에 맞게 적정량을 생산하고 , 생산된 물량을 전국 각 대리점으로 배송하는 역할을 해야합니다. 늘 쫓기고 서로 애로사항을 소통하고 설득하여 원하는 물량을 돌리는 업무를 원활하게 진행하려면 ,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보이고 설득력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하려면 공장과 전국의 대리점과 연계된 물류체계를 잘 파악하고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내공을 키워야 겠지요. 무엇이 가장 중요할지 본인의 장점과 이 사실을 연결하여 어필해보새요.
채택
멘
멘토5719
코리아리크루트
코상무
∙ 채택률 78%
http://www.work.go.kr 워크넷의 [한국직업정보시스템]에서 물류관리전문가에게 요구되는, 필요한 것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업무수행능력: 서비스지향(88), 공간지각력(87), 협상(86), 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86) 지식: 운송(100), 영어(67), 지리(58), 식품생산(53), 안전과 보안(50) 성격: 리더십(92), 사회성(87), 성취/노력(86), 스트레스 감내성(82), 타인에 대한 배려(82)
이상이 한국직업정보시스템에서 물류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성격이라고 했으니까 님도 이 성격에 맞춰서, 님이 준비된 업무수행능력, 지식, 성격 등을 갖춘 지원자라고 어필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채택
S
SCMan
IKEA
코이사
∙ 채택률 79%
생산법인은 고객(판매법인 또는 실제Buyer)의 Forecast를 기반으로 적정한 재고를 생산하여 필요한 량만큼 필요시점에 공급합니다. 일반소비재의 경우 적정재고를 유지하지 않을 경우 갑작스런 고객의 디맨드에 대응하기 힘듭니다. 따라서 적정량의 버퍼스탁을 유지하고 이에 따라 운송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수요/생산 측면에서는 계획의 정확도와 분석력, 물류기반에서는 재고정확도와 운송하여 고객이 필요한 시점에 재고 확보가 되게끔해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것을 기반으로 어필하면 도움이 되실것 같습니다.
2018.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