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인사직무 / 인사

Q. 인사 직무 희망하는 학생입니다. 입사 전 인턴 직무에 대해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인서울 여대 법학과를 수료상태로 마친 학생입니다. 인사/총무직을 진로로 정하고 인턴부터 알아보는 중에, 학교 추천채용에 외국계 헤트헌팅 기업 인턴 공고를 보고 지원을 해서 면접을 앞둔 상태입니다.
인턴으로서 하는 일은 인재 관련 데이터베이스 정리업무, job platform개발 참여라고 되어있는데 추후 기업의 인사팀으로 지원할 때 경력이나 경험으로 도움이 될까요? 아무래도 헤트헌팅과 기업 인사팀은 성격이 조금 다르지 않을까 싶어서요..
HRM직무에 관심이 많아 세무법인에서 업무보조(급여관리, 4대보험, 원천징수, 연말정산 등)를 해오기도 했고 법학 전공이다보니 HRD보다는 HRM에 더욱 맞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위 회사의 업무는 배우고 싶긴 한데, 추후 기업의 인사팀으로 지원할 때 과연 도움이 될까 생각이 듭니다. 아니면 그냥 기업의 인사팀 인턴으로 지원해 보는 것이 나을까요?
멘토님들, 조언 부탁드립니다..!ㅠㅠ

답변 3
목표가되는삶을지향
코차장 ∙ 채택률 88% ∙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미리부터 고민이 많으신 만큼 좋은 결과가 있을 것 같네요.

채용관련 업무는 인사팀에서 일부 업무에 속합니다. 인사팀에서는 채용, 평가, 보상, 승진, 핵심인재관리, 징계, 급여, HR제도 기획, HR Data분석, 법적 Risk관리, 임원관리, 퇴직 등 다양한 업무가 진행됩니다. 따라서, 최종 입사목표가 인사팀이라면, 해드헌팅 업체보다는 기업 인사팀 인턴, 컨설팅펌에서 HR관련 RA, 학교 HR관련 학회나 동아리 활동, 노무사 공부 (합격하시면 좋지만 공부하는 것 만으로도 도움 됩니다)등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건승하시길 빕니다!


민들레
코과장 ∙ 채택률 78%

헤드헌팅과 인사팀은 성격이 다릅니다. 헤드헌팅은 적합한 외부의 인재를 소싱해서 고객(인사팀)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아마 멘티님이 지원하시는 포지션은 그 외부 인재 풀 중에서 핵심인재를 관리나 경력관리 같은 업무를 지원하는 거 같은데요. 결국 인사팀도 채용, 인재소싱, 핵심인재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경험이 도움은 될 것 같습니다. 만약 기업의 인사팀의 인턴으로 할 수 있다면 더 좋지만 기회가 많지 않기 때문에 현재 경험을 잘 쌓고 차근차근 지원해보는 게 좋지 않을까 싶네요.


프로^^
코차장 ∙ 채택률 68%

안녕하세요. 우선 인턴 경험은 직무 수행에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듯 합니다. 그리고, 아시는 바와 같이 헤드헌팅과 기업 인사팀 업무는 차이가 많이 있습니다. 헤드헌팅은 경력직 채용을 할 때 회사에서 필요한 보직에 맞는 인원을 잘 초이스 하는 부분의 역량이 메인입니다. 그리고, 회사 인사팀은 기업에 맞는 신입/경력직원 입사 관리 및 인사제도 및 평가제도등을 만드는게 주 업무 입니다. 원천징수 및 연말 정산 업무는 회계 및 세무팀 업무이니까 참조해 주세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