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을하면 반도체 장비관련 중소기업에 입사를 하는데요 평균학점이 낮은 편입니다 혹시나 나중에 이직을 한다면 평듄 학점이 중요한가요??
답변
4
H
Hongineer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코리아
코이사
∙ 채택률 84%
∙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hongineer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신입사원으로 취업시 학교나 학점을 많이 보는 기업이라도, 경력직으로 입사시에는 그보다 덜 보는 것 같습니다. 주변을 봐도 신입사원때는 거의 인서울 메이저 학과만 취업하는 회사라도 경력직으로는 지거국이나 지방대도 입사를 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경력직의 경우 본인이 어떤 업무를 했고 등의 실질적인 업무활동이 더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또한, 학점은 졸업을 하신다면 이미 결정되서 바꿀 수가 없으니 사실 지금 고민하셔도 크게 바뀌지 않을 문제라고 생각되어집니다... 따라서 이직시에는 직무를 어떻게 하면 더 어필하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하시는 것이 더 중요하겠네요
화이팅입니다
알
알토
한전KPS
코차장
∙ 채택률 65%
안녕하세요 멘티님 할수있을때 하세요 나중에 후회하면 늦습니다 살면서 꼭 필요해 라고 말씀드릴순 없지만 해두면 언젠가 꼭 쓸일이 있습니다 하세요
멘
멘토48994
대우건설
코사원
∙ 채택률 67%
저도 중견을 2년 정도 다니다 이직을 한 케이스 입니다. 이직 면접당시 학교에 관련된 일은 전혀 묻지 않았습니다. 대부분 전 직장과 현 직장의 업무관련성을 많이 물어보셧었고, 자소서 내용 또한 대부분 전 직장에 대한 글들이었습니다. 어차피 졸업 후 몇년이 지나면 취업에 학교생활은 큰 비율을 차지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현재 4학년 올라가시는거라면 학점 관리는 해 두시길 권장드립니다. 굳이 오점을 남기실 필요는 없지않을까요? 1년동안 학점과 다양한 분야 경험해 보시고 회사 입사하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휴면계정
안녕하세요 멘티님 이직 경험을 기준으로 문의에 답변드립니다.
이직시 학점은 당락에 크게 좌우되지 않아보입니다. 하지만 항목에는 들어있죠. 이는 언제든지 평가항목으로 쓰일수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다수의 항목들이 비슷한경쟁자라면 어느부분에서든 객관적으로 선별해야하니까요.
또한, 최근에는 중고신입도 늘어나는 추세이기때문에 혹시모를일을 대비하여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시기를 권고드립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신입사원으로 취업시 학교나 학점을 많이 보는 기업이라도, 경력직으로 입사시에는 그보다 덜 보는 것 같습니다. 주변을 봐도 신입사원때는 거의 인서울 메이저 학과만 취업하는 회사라도 경력직으로는 지거국이나 지방대도 입사를 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경력직의 경우 본인이 어떤 업무를 했고 등의 실질적인 업무활동이 더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또한, 학점은 졸업을 하신다면 이미 결정되서 바꿀 수가 없으니 사실 지금 고민하셔도 크게 바뀌지 않을 문제라고 생각되어집니다... 따라서 이직시에는 직무를 어떻게 하면 더 어필하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하시는 것이 더 중요하겠네요
화이팅입니다
2018.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