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 · 카카오, 라인플러스 / 서비스기획, 디자인

Q. IT 프리랜서로 프로젝트 진행중 정규직 전환된 이력은 어떻게 기술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멘토님!

제가 초반에 프리랜서로 진행하다가, 중간에 정규직 제안을 받아서 정규직으로 근무해서 완료한 프로젝트가 2건이나 됩니다...

1. 이 경우에 경력사항 (정규직/계약직/기타 구분) 에는 어떻게 기술해야 하는지요..?
정규직(4대보험) 기간 / 기타 기간으로 나누어서 2번 기록해야 할런지요?

2. 프로젝트 수행이력에는 최종 수행 형태 (사내, 외주, 프리랜서 구분) 로 하나로 묶어서 프리랜서가 아닌 사내 또는 외주로 기입해도 되는지요?

경력기술시에 생각이 많은 취준생입니다. 경험있으신, 혹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ㅠㅠ

답변 3
채택
멘토5719
코상무 ∙ 채택률 78%

1. 항 질문은 4대보험 가입 기간과 기타 기간으로 나누어서, 님이 1번 질문 마지막 줄에 물은 그대로를 작성하셔야 할 것입니다.
4대보험에 가입되어야 정규직으로 인정받으실 수 있규, 그렇지 못한 기간은 기타 기간으로 나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2. 1번 질문과 동일하게 생각하셔야 할 것입니다.
정규직 전환 후 수행한 프로젝트와 프리랜서로 수행한 프로젝트를 나눠서 프로젝트 수행이력을 작성하심이 맞다는 판단입니다.


채택
멘토48394
코주임 ∙ 채택률 60% ∙
직무 학교
일치

안녕하세요, 후배님이신거 같네요.
네이버-라인 출신입니다.

1 정규직동안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기간이 길다면, 굳이 세부적으로 나누지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오히려 프로젝트의 내용과 기여한부분, 어필할 수 있는 부분을 충분히 기술하는것이 의미있다는
생각입니다.
2 프로젝트의 수행형태도 중요하지만, 어떤 프로젝트를 얼마나 해냈느냐가 더 포커싱될 부분이므로,
그쪽에 디테일한 설명이 많은 것이 좋다고 봅니다.


채택
h
hyuk
코차장 ∙ 채택률 82%

카카오의 경우에는 고용 형태에 따른 구분 보다는 프로젝트 단위로 구분하여 기술합니다. 해당 프로젝트의 상세 설명에 정규직 전환등의 내용을 포함하면 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