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페인트, 화학, 신발 / 품질
Q. 저는 공업화학을 전공한 여학생입니다! 화학과 페인트관련하여 전공했기 때문에 관련회사에 지원하려고 했지만, 열악한 환경때문인지 주변에서 자꾸 말리네요.
저는 공업화학을 전공한 여학생입니다! 화학과 페인트관련하여 전공했기 때문에 관련회사에 지원하려고 했지만, 열악한 환경때문인지 주변에서 자꾸 말리네요. 확실한 정보를 얻고싶습니다!! 또한, 저는 품질파트에서 일을 하고 싶습니다. 품질관리도 여성으로서 힘들 수 있다고하여 품질보증으로 방향을 바꿔보는게 어떻냐는 제안도 받았었는데 대부분의 회사는 보증과 관리를 함께 맡는 다고 들었습니다. 실제로 입사 후에는 어떤일을 하는지,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품질은 관리와 보증 파트로 나뉘며, 관리는 말그대로 현장에서 불량이 나지 않게 예방하거나 발생한 제품을 처리하고 재발하지 않도록 조치하는 일을 합니다.
보증은 제품을 만들기 전, 후에 제품의 품질에 대해 보증하는 역할입니다. 제품을 만들기 전 설계 단계에서는 품질문제가 나지 않을 수 있도록 최대한 검토하고 검증하는 선행품질을 담당하며 제품이 생산된 후에는 고객에게 납품 된 후에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서 고객에게 품질 문제에 대해 개런티 해주는 품질보증 역할을 합니다.
이 외에 대기업에는 기획파트도 따로 있기는 한데 대부분 품질지표, 품질목표, 품질회의 등을 담당하고 국내/외 인증을 담당하며 감사(Audit)기능이 포함되기도 합니다.
제조업 품질 자체에 여성분이 많은 편은 아닙니다. 품질관리의 경우 아무래도 현장 작업자들과의 마찰과 생산 담당자와의 마찰이 많은편이라 분위기상 여성분들이 쉬이 하기 힘들다는 인식이 있으며 보증 역시 생산 후에 해당하는 품질보증의 경우 고객과 좋지않은 이유로 마주하게 되는 관계로 많은 편은 아닙니다.
차라리 선행품질이나 품질기획 파트의 경우가 여성분이 더러 계신 편이며 위 두개 파트에 비해서는 선호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다만, 완전 막혀있는 것은 아니며 그에 따른 능력이 있으면 당연히 채용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대기업일수록 여성분의 채용확률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필요한 역량이라면 품질지식과 제품지식은 기본적인 것이고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는 문제해결력, 분석능력, 유추능력, 넓은 시야을 비롯하여 의견 충돌이 발생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화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능력, 논리력, 소통 능력, 친화력 등이 필요합니다. 고객이나 현장 작업자와의 감정적인 마찰로 인한 긍정적 사고, 강한 멘탈이 필요하고 업무를 끝까지 책임질 수 있는 책임감도 필요합니다.
2019.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