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포스코 / 모든 직무

Q. 포스코 생산기술 품질사업부

품질사업부에서는 품질관련 지식과 재료적 지식을 가진 사람을 선호한다고 하는데
화공전공자가 포스코 생산기술 품질사업부에서 기여할 수 있는게 뭐가 있을까요?

답변 4
O
OYEDO
코부장 ∙ 채택률 75%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화학전공자의 경우 재료적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라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공대형
코대리 ∙ 채택률 65% ∙
회사 산업 학교
일치

질문자님 반갑습니다.
품질사업부에는 실제로 화학전공자들이 근무합니다만, 신소재공학과 대비 적은 것은 사실입니다.
더 전공에 맞는 부서가 있을 수 있으나, 품질사업부에 화학전공자로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말씀드리면
품질에 대한 문제나 혹은 어떤 개선/개발을 위해 검토 시 조성 부분에 대한 이해가 빠를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추가로 전체 공정에서 화학반응이 잘 사용 되는 공정을 공부해보시는 것도 무엇인가 어필 하실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겡태공
코이사 ∙ 채택률 72% ∙
회사 산업
일치

멘티님 안녕하세요. 전공이 회사를 결정짓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화공전공이라고 해서 딱 그 부서만 가라는 법이 없습니다. 생산기술에 품질에 들어가시면 제품에 대한 양산성 확보에 노력을 하셔야 합니다. 화공분들이 익숙하시다면 제강, 제선, 화성 조업부서가 나을 수도 잇습니다. 품질기술부에서는 다시 배워야하는게 대부분일 겁니다.


채택
r
radish
코부사장 ∙ 채택률 77% ∙
회사 산업
일치

화학전공자의 경우 품질 문제 발생시 다른 전공보다 데이터를 펼처 어떠한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을 것 입니다.
따라서 담당하는 소재의 품질문제 발생시 빠르게 어느 단위공정에서의 문제점인지 파악하고 대처하는 방향으로 기여할 수 있겠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