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포스코 / 모든 직무

Q. 포스코 설비기술(기계) 플랜트, 해외 주재원

안녕하세요, 20년 하반기 공채에 포스코 설비기술(기계)을 준비하며 궁금한 점이 생겨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

1. 기계공학 전공 설비기술이면 플랜트에서 라인별 담당이 되어 기계 설비만을 담당하는 것인가요? 플랜트 전체의 운영이나 플랜트 유지, 보수 및 관리는 하지 않는건가요?
스마트 플랜트에 관심이 많고, 그와 관련해서 수업과 공조냉동기계기사를 취득중에 있는데 이와 관련된 내용을 자소서 직무역량 부분에 기재해도 될 지 모르겠습니다.


2. 설비기술 기계직군으로 근무하면 해외에 주재원 혹은 출장으로 파견 될 가능성이 있나요?
포스코 홈페이지 직무소개 란에서는
'국내 뿐 아니라 인도네시아, 중국, 터키, 멕시코, 태국, 브라질 등 전 세계로 생산기지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글로벌 환경에서 업무 수행이 가능한 외국어 능력도 요구됩니다'

라고 적혀 있던데 현직자분들은 공감하시나요?
주재원 파견 혹은 해외 출장의 빈도가 설비기술에서 얼마나 잦은지 궁금합니다.


멘토님들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4
채택
S
SimonD99
코대리 ∙ 채택률 74%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후배님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경우에 따라 다르겠습니다만 보통은 요소기술을 배운다음 요소기술에 있어서 전문가가 되어야합니다. 또한, 이후에 시간이 흐르면 현장에 가게되어 플랜트 전체를 바라보고 관리하는 실력을 익히게 될 수도 있습니다.공조냉동기계기사 자격증은 직무역량부분에 간략하게 적어주셔도 어필이 될 것 같습니다.
2.해외주재원 같은 경우는 열려있긴하지만 결코 기회를 얻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지원자 본인의 노력과 외국어 능력등이 중요합니다. 해외출장의 빈도 등은 부서마다 다르기 때문에 감히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
도움됬으면 좋겠습니다.
건승하세요!


채택
r
radish
코부사장 ∙ 채택률 77%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질문에 하나씩 답변드리겠습니다.
1. 플랜트 전체를 담당하기에는 따로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투자부서의 경우 계획을 하다보니 전체를 담당하자미나 설비기술 직무의 겨우 하나만 담당하는게 사실입니다. 하나만 담당해도 힘든데 전체를 담당하는것은 아무래도 힘들어보입니다. 또한 공조냉동기사의 경우 전공관련하여 어필이 가능하시니 이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네 간으합니다. 말씀해주신대로 어학적인 역량이 있으면 더더욱 가능하고요, 엔지니어는 거의 가는거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3. 본인이 가고싶다하면 충분히 갈 수 있습니다.

화이팅하세요!


채택
겡태공
코이사 ∙ 채택률 72% ∙
회사 산업
일치

멘티님 안녕하세요. 저는 생산기술직으로 입사했구요. 기계공학과 출신입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 소방설비기사, 에너지관리기사를 갖고 있습니다. 직무역량에 표시하는건 좋을 것 같아요. 플랜트라는 표현을 쓰지 않습니다. 공장으로 표현합니다. ^^ 공장 유지보수 관리는 기본적인 활동입니다. 보통 설비직무에서는 조업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안정적인 설비 운영이 가장 중요하죠. 공장안에 설비가 있고 이 설비는 요소 설비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공장을 공정으로 이해하셔도 됩니다. 설비기술직은 공장 관리라는 표현이 맞지 않아요. 공장장은 생산기술직이 수행합니다. 정비리더를 하는거구요. 이 경우 담당 설비를 관리합니다. 공장운영은 공장장이하죠. 그리고 해외가는 경우가 당연히 많아요. 가기 싫어도 가는 경우도 있으니 기회는 열려있답니다.


채택
O
OYEDO
코부장 ∙ 채택률 75% ∙
회사 산업
일치

1. 기계공학 전공 설비기술이면 플랜트에서 라인별 담당이 되어 기계 설비만을 담당하는 것인가요? 플랜트 전체의 운영이나 플랜트 유지, 보수 및 관리는 하지 않는건가요?
스마트 플랜트에 관심이 많고, 그와 관련해서 수업과 공조냉동기계기사를 취득중에 있는데 이와 관련된 내용을 자소서 직무역량 부분에 기재해도 될 지 모르겠습니다.

*답변 : 포스코에서는 전공에 따라 직무배치를 하긴 하지만, 반드시 기계공학 전공이라고 설비, 플랜트를 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본인이 서류~면접 과정까지 설비기술 플랜트에 관심이 있음을 어필하면 해당 직무에 배치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엔지니어의 경우 입사 후 부서가 결정되면 해당 부서가 관리하는 공정에 대한 설비를 담당하게 됩니다. 설비기술을 담당하는 부서가 별도로 구성되어있어서
유지, 보수에 대한 실무를 직접 하지는 않습니다(대졸 공채의 경우).

엔지니어 지원자의 경우 기사자격증을 모두 어필하면 장점이 됩니다. 해당 내용을 직무역량 부분으로 기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러한 직무역량을 가지고 포스코에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써주시면 좋습니다.


2. 설비기술 기계직군으로 근무하면 해외에 주재원 혹은 출장으로 파견 될 가능성이 있나요?
포스코 홈페이지 직무소개 란에서는
'국내 뿐 아니라 인도네시아, 중국, 터키, 멕시코, 태국, 브라질 등 전 세계로 생산기지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글로벌 환경에서 업무 수행이 가능한 외국어 능력도 요구됩니다'

*답변 : 해외 주재원으로 파견되는 임직원의 수는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신입사원때부터 업무에 대한 전문성, 주변 직원들과의 소통 등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단순히 외국어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 파견하는 것은 아니며, 부서내에서 본인의 역량을 얼마나 보여주는가에 달려있다고 생각됩니다.

지금부터 미리 걱정할 부분은 아닙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입사 후에 본인의 역량을 마음껏 펼쳐주세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