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포스코 / 설계엔지니어

Q. 포스코 설비기술 업무 관련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멘토님.

포스코 설비기술 직무를 꿈꾸는 취준생입니다.

현재 입사 후 향후 계획에 대해 쓰고 있는데, 실기기술 엔지니어는 설비문제를 해결하면 공장의 생산성이 상승되는 것인가요? 설비가동률을 높이고 관련 kpi를 맞추는데 기여하겠습니다 이런식으로 쓰려고 하는데 접근 방식이 괜찮은가요?

현직자 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답변 4
채택
r
radish
코부사장 ∙ 채택률 77%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설비의 문제를 해결하면 아무래도 중간에 돌발의 가능성이 낮아지고 생산성이 증가됩니다. 따라서 설비가동률이 높아지게됩니다.
잘 접근하셨습니다.

이렇게 자세히 아는게 신기할정도이네요. 화이팅하세요!


채택
대한민국취준생파이팅
코상무 ∙ 채택률 89%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후배님
질문 사항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설비기술 엔지니어가 고질적인 설비 문제를 해결했을 경우, 설비 장애로 인한 돌발 건수가 줄어들게 되고 이를 통해 설비가동률, 공장 KPI가 개선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이 언급하신대로 작성하시면 매우 좋은 입사 이후의 포부가 될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후배님 건승하세요~


채택
겡태공
코이사 ∙ 채택률 72% ∙
회사 산업
일치

멘티님 안녕하세요. 솔직히 포스코는 설계일을 하는 업체가 아닙니다. 제조업체이고요. 대부분 설비기술은 제조를 위한 설비 대응 기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정비일이 주구요. 생산기술에서 일하시는게 오히려 설비적인 접근이 용이합니다. 제품을 모르면 설비도 알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제어라는 것도 솔직히 고졸출신의 기능직분들도 수행하실 수 있어요. 설비 트러블이 개선되면 작업할시간이 늘어납니다. 즉 가동률, 작업률 상승에 영향을 줍니다. 작업할시간이 늘면 생산량이 늘죠. 생산성도 당연히 늘게됩니다. 접근방식은 양호합니다.


O
OYEDO
코부장 ∙ 채택률 75%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당연히 설비를 정상적으로 가동하게되면 휴지시간을 줄이게되어 가동률을 높일 수 있게 됩니다.
더불어 작업률 및 각종 생산 제원치 향상 시킬수 있어서 생산량 향상에도 큰 도움을 줄수있죠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